자율주행시대 ’성큼‘···디지털 도로 인프라 구축 ’총력‘
자율주행시대 ’성큼‘···디지털 도로 인프라 구축 ’총력‘
  • 김주영 기자
  • 승인 2017.07.16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도로 핵심 기술 ’C-ITS‘ 주목···2020년까지 R&D 지속 진행

[도로의 날] 미래 도로를 만나다 

가까운 미래시대에는 당분간 자율주행자동차와 비(非)자율주행차(이하 일반차)가 같은 도로를 달리는 모습이 연출될 가능성이 크다.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기술이 도로산업에 빠르게 융합된 결과물이다.

미래시대에 나타날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가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비에 나섰다. 과도기가 지나가면 앞으로 도로는 도로 혼잡이 감소하게 될 뿐 아니라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성도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스마트하이웨이 R&D 대표 기술인 '도로정보 검지 레이더 시스템' 개념도.

[국토일보 김주영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지난 2분기 자율주행차와 일반차가 한 도로를 동시에 이용하는 과도기에 대비하기 위해 도로분야 핵심 정책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미래시대 도로정책 연구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단계적·체계적인 운행·제어·관리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첨단 기반시설인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도 적극 활용해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상태 등의 정보를 일반차량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보통신·센서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자율주행차 시대가 급속히 다가오고 있지만 자율주행차와 일반차가 함께 도로를 이용하는 과도기가 불가피하다”며 이번 연구배경을 설명했다.

C-ITS의 초기 단계는 대략적으로 간단한 시스템 개선을 통해 도로 혼잡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설정된 신호 주기에 따라 전환되는 기존 신호 시스템을, 시시각각 변하는 교통량을 감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지능형 신호 시스템으로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능형 신호시스템으로 개선한 미국 뉴욕과 버지니아에서는 교차로 통행시간이 각각 15.7%, 22% 감소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C-ITS는 이후 자동차 급정거, 도로 낙하물 등 돌발상황을 미리 파악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쪽으로 기술 발전을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로 전문가들은 도로인프라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ICT 기술과의 융·복합이 선행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래도로의 핵심은 차량과 도로(V2I), 차량과 차량(V2V), 차량과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연속성을 가져야 하는 데 있다. 또 보행자의 움직임 정보을 감지하는 기술도 뒷받침돼야 한다. 도로 상의 모든 사물이 유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한국도 미래시대에 적극 대비, 지난 2014년부터 세종시와 대전을 잇는 도로 구간에 ‘자율주행차량 전용 통신(V2X) 기반의 C-ITS를 구축하고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 앞으로 다차로 스마트 하이패스가 전국 고속도로에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차로 하이패스가 적용되면 현재 요금수납소로 인한 통행 장애물이 사라져 요금소 통과 속도 제한이 사라질 전망이다.

이는 앞선 2007년부터 ’스마트하이웨이 연구개발(R&D)‘을 통해 개발한 기술이다. 이 기술을 통해 위험구간 주행 안내, 공사구간 위험경고, 차량간 충돌방지, 차량 돌발상황 경고, 교통정체 경고 등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C-ITS 시범사업은 현재 당진-대전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지선 등을 포함해 87.8㎞에서 진행되고 있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8,480억 원을 투입해 후속사업도 진행한다. 또 고속도로 상 자율주행차 테스트배드도 설치,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일부구간에 자율주행 시범 운행 여건도 마련됐다.

국토부 역시 연내 경기 성남 판교지역과 세종지역에 자율주행이 가능한 도로를 구축, 자율주행셔틀버스, 자율주행차량의 성능을 살펴볼 계획이다.

무엇보다 도로당국은 자율주행자동차가 달릴 도로시스템 개발에 온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오는 2020년까지 한국도로공사 등은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기술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통해 V2X를 활용한 자율주행 도로시스템 개발하게 된다. 여기에는 약 33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전망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자율주행 기술 수준은 점진적으로 높여, 미래도로에 대비하고 있다. 참고로 자율주행 기술수준은 레벨 0부터 4까지 총 5단계로 구분된다.

레벨 0은 자율주행 기술이 아예 없는 자동차를, 레벨 1은 1개의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를 뜻한다. 레벨 2는 '종방향 기술'과 '횡방향 기술'이 각각 최소 1개 이상이 적용된 것이며, 레벨 3은 전후좌우(前後左右) 모두 방향을 스스로 움직일 수 있지만 완전하지 않아 운전자가 비상시 직접 운전해야 하는 수준이다. 레벨 4는 사람이 전혀 운전을 하지 않는 진정한 무인자동차를 말한다.

도로당국은 가장 먼저 내년 평창올림픽 기간에 맞춰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할 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 등은 정확한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 자율주행차량의 인지범위 한계를 현 200m 수준에서 1㎞로 늘리는 기술을 한창 개발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며 “ 자율주행기술이 국토교통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