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LH 215개 사업지구에 드론 활용"···250억 신규 드론시장 창출 기대
국토부 "LH 215개 사업지구에 드론 활용"···250억 신규 드론시장 창출 기대
  • 김주영 기자
  • 승인 2018.01.03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 건설업체·타 공공기관 등 건설 전분야 선도사례 자리매김 전망

[국토일보 김주영 기자] 이르면 올 2월부터 토지‧주택 관련 업무에 드론이 본격 활용된다. 이로 인해 창출되는 신규 드론시장은 연간 25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수행 중인 215개 사업지구에서 조사‧설계‧공사관리 등에 드론을 우선 활용하고, 향후 지속 확대할 방침이라고 3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LH공사는 지금까지 드론 관련 용역과 시범운용을 통해 계획부터 시설물 유지관리단계까지 주요사업 전 분야에 드론 활용을 적극 검증해 왔다. 검증 결과에 따라, 앞으로 5개 분야, 12개 업무에서 드론을 우선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 LH의 드론 통합 운용방안

활용 분야는 ▲계획(후보지조사, 공람공고, 보상) ▲설계(현황조사측량, 토목BIM 설계, 건축설계) ▲시공(단지공사, 도로공사, 건물공사, 안전진단) ▲자산‧유지관리 ▲홍보 등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계획단계에서는 사업 추진에 필요한 토지를 수용‧보상하기 위한 현장조사업무 및 신규 사업지구 결정, 사업지구 경계 설정을 위한 후보지 조사 등에 드론 영상을 활용한다.

토지보상의 경우, 사업초기단계에 항공사진을 일회성으로 촬영‧활용하고 직접방문조사를 병행하던 방식을 수시 확보할 수 있는 드론 영상과 지적도‧지형도 간 중첩‧비교하는 방식으로 대체하게 된다. 

특히 지난 2016년 2월부터 8월까지 택지지구 및 국가산단 등의 보상업무에 시범운영한 결과에 따라, 현장조사에 고충을 겪던 험지조사 등을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성 있는 주민 공람 자료로도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드론영상은 후보지 조사에도 활용돼 주변 자연환경, 표고‧경사, 토지이용현황 등을 파악해 사업지구를 결정하게 된다.

설계단계에서는 시설물의 형상‧속성정보를 실제와 동일한 3차원(3D) 정보로 구축하고, 공공측량에 적합한 수치지형도면 등을 제작하는 등 설계 및 토목BIM 구축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다.

토목BIM 구현 시에도 인력에 의존하던 건설현장 시공관리와 목측, 각종 측량기기를 통한 측정방식을 고해상도 영상기반의 3D모델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대체할 수 있다.

시공‧유지관리단계에서는 공사현장의 공사진행 파악과 공정관리, 안전점검 등의 업무에 드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단지 공사의 경우, 작업공정별 영상자료를 구축해 지형특성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지하매설물 관로‧맨홀‧구조물‧조사측량‧포장 등 다양한 설계도면을 중첩한 공사 관리도 가능하다.

아파트 등의 주택공사에서는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현장에 회전익 드론을 활용해 다각도의 영상획득이 가능해 질 전망이다. 이를 통해 외관조사, 균열, 파손 등의 손상 규모를 보다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에서 시행되는 수시‧정기점검에 드론을 활용해서 정밀도를 높이고 지반붕괴‧낙석‧토사침출‧구조물파손 등 건설재해 발생으로 인한 긴급 복구계획을 수립할 때도 활용한다.

특히 안전점검은 현재 주로 육안조사로 실시하고 있어 고층부 외벽 등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드론에 고정밀 RGB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취득 센서 등을 통해 근접 촬영하면 균열부 확인, 입체적 영상분석 기법을 통한 시설물 내 손상부분을 탐지할 수 있다.

국토부와 LH공사는 향후에는 주기적으로 촬영해 축적되는 공사현장의 드론영상과 사물인터넷(IoT) 장비를 장착한 건설기계‧인력이동‧건설관련 정보를 통합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시기별 공사 통계정보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측했다.

무엇보다 드론으로 취득된 다양한 공간‧공사정보의 처리‧가공‧활용을 위해 LH는 세계 최초의 원스톱 운영시스템을 구축키로 해 눈길을 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전국 LH 사업지구 내 비행하는 모든 드론은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며, 중앙통제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지상관제장비를 통해 비행하게 된다.

현장에서 취득된 영상은 중앙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되며, 중앙통제실은 수신 영상을 GIS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정보는 현장으로 재전송되고 빅데이터 서버에도 저장한다.

아울러 부품‧소모품에 대한 유지보수 관리체계를 구축해 추락 등으로 인한 기체 손실‧고장 시에도 즉각 대응도 가능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한 건설관리로 공사과정의 투명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사례는 다른 공공기관 및 민간 건설업계에도 선도적인 사례가 돼 확산에 일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드론 활용성과 연구를 수행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이석배 교수는 “LH의 드론도입으로 업무 효율성 증대 등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위험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기술인력 수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국산기술로 제작된 드론을 25기를 도입한 바 있으며, 관련 운영시장 형성을 위해서도 약 30만m2 이상의 사업지구에서는 외주 용역을 통해 드론을 운용할 계획이다.

LH 전국 현장에 드론을 전면 활용할 경우, 연간 약 2,500여회의 비행소요가 예측되며 연간 약 250억 원의 신규 드론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 시장규모는 시공분야에 154억 원, 자산관리분야에 50억 원, 계획분야에 12억 원 등이다.

이 밖에 기존 연 130억 원이 소요되는 항공촬영 업무를 드론으로 대체하는 경우, 비용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이 비용은 연 66억 원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항공사진 해상도는 약 50cm 수준인 반면 드론은 약 5cm 수준의 해상도 확보가 가능하며, 기상 등 주위 환경에 영향이 적어 운영가능일도 3배 이상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