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 전국 추진 열기 뜨겁다
‘도시재생사업’ 전국 추진 열기 뜨겁다
  • 이경옥 기자
  • 승인 2017.07.25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 도화지구 ‘도시재생’ 성공모델 자리매김

[국토일보 이경옥 기자]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과제로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떠오르면서, 부동산 시장에서도 도시재생 분야가 유력한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시재생이란 구도심 등 낙후된 노후주거지를 새롭게 업그레이드해 거주민 삶의 질과 지역발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현재 전국 각지에서 대표 사업지가 성공적으로 조성 중이거나, 지자체 주도로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분위기다.

일부 사업지는 ‘롯폰기힐스’ 등 글로벌 도심재생의 대표작으로 유명한 모리빌딩도시기획이 참여하는 등 글로벌 특화 설계를 도입하고 있어 실수요는 물론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문재인 정부 ‘도시재생’ 총력전

문재인 정부는 대선 초기부터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요 공약으로 발표하고 정부 출범 후 적극적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월 국토부 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TF팀을 발족했으며 최근(7월 4일)에는 ‘도시재생사업기획단’이 공식 출범했다.

도시재생사업 추진도 가시화되고 있다.

올 초 국토부는 제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서울 창동, 상계 일대와 대구 서·북구, 부산 영도구(봉래동), 울산 중구(중앙동), 충북 충주시(성서동), 전북 전주시(풍남동), 서울 용산구(용산2가동), 서울 구로구(가리봉동) 등을 국가지원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했으며, 향후에는 5년 간 총 50조 원(매년 10조원)을 투자해 전국 500개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 개선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 도시재생 성공모델 주목

시장에서는 지난 2006년부터 도시재생사업을 시작해 인천의 대표적인 ‘도심재생’ 성공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도화지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향후 약 6,000세대(약 1만5,000명)가 거주하는 주거 중심지로 조성될 예정으로 인근에 청운대 제2캠퍼스와 초·중·고 등의 17개 이상의 교육 인프라, 주안국가산단 및 인천일반산단 등 대규모 첨단 산업배후 단지, 행정타운, 제물포스마트타운, 인천정부지방합동청사(2018년 말 준공예정) 등 6개 이상의 정부기관 이전으로 풍부한 배후수요를 갖췄다

도화지구 신규 공급 물량에 대한 관심도 높다.

지난 2015년 국내 제1호 뉴스테이로 공급된 'e편한세상 도화‘가 평균 경쟁률 5.5대1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고, 오는 8월에는 포스코건설이 시공하는 신개념 라이프스타일센터 ’앨리웨이‘와 1,897가구 규모의 ’인천 더샵 스카이타워‘가 들어선다.

‘앨리웨이 인천’은 롯폰기힐스, 긴자식스 등 도시재생을 통해 지역 랜드마크를 건설해온 일본 글로벌 기업 ‘모리빌딩도시기획’과 네오밸류가 합작해 진행하는 라이프스타일 센터로, 광장 특화계획으로 대면상가 활성화를 유도하고, 근린광장을 조망할 수 있는 테라스 타입 판매시설과 데크 설계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특화 설계 등이 적용될 예정이다.

또 마스터리스와 네오밸류 자체보유분(65%)에 대한 앵커 테넌트 유치, 통합운영관리 등을 통해 상권활성화를 최우선으로 하며, 현재 유치가 확정된 CGV(15년 임대차 계약)에 이어 니어마이비와 밀도, 라이프스타일 편집샵 등의 자체 브랜드를 운영할 계획이다.

리츠형 도시재생사업 전국 1호 모델을 진행한 천안시는 관련 사업 확장에 적극적이다.

지난 해 천안시는 문화동 동남구청사 부지 1만9천여㎡ 일대를 어린이회관과 대학생기숙사, 주상복합, 지식산업센터 등을 조성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했다.

시에서 토지를 현물출자하고 주택도시기금과 국비, 지방비 등을 투입하는 리츠형 도시재생 최초 사례로, 사업에 참여한 현대건설은 개발구역 내에서 올 하반기 중 450여 가구의 일반분양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천안시는 올 하반기 국토부에서 진행하는 1회 ‘도시재생 뉴딜’ 사업자 공모에 참여해 천안역세권 일대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지난 7월 6일 국내 주요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부산 드림아파트’ 도시재생사업 정책설명회를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사업대상 부지의 관련 규제를 크게 완화한 후 청년층 등에서 공공임대 아파트를 공급하는 것으로, 향후 부산에서만 약 2만 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경옥 기자 kolee@ikl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