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후 인프라 예측 관리 안전 강화
서울시, 노후 인프라 예측 관리 안전 강화
  • 이경옥 기자
  • 승인 2017.06.12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 대비 중장기 선제적 대응으로 대전환

[국토일보 이경옥 기자] 서울시가 노후화되고 있는 도시 인프라를 중장기 선제적 대응으로 대전환한다. 

서울의 전체 도시인프라(시설물 2,394개소, 관로 및 궤도 25,108㎞)의 70% 이상은 70~80년대 압축 성장 시기에 집중적으로 건설됐다. 이에 따라 30년 이상 노후화 비율은 20년 뒤 86%로 가속화되고('16년 33%→'36년 86%) 시설물 유지관리 비용도 10년 뒤 지금의 2배 이상('17년 8,849억원→'27년 2조7,687억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가 이와 같은 노후 도시인프라 급증에 따른 시민 안전 위협과 미래 재정적 압박에 선제적으로 대비, ‘서울 인프라 다음 100년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그동안 제각각이었던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를 안전총괄본부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 관리상세내역 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각 시설별로 최적의 보수‧보강 시점을 예측해 적기에 재정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이른바 미래예측모델이다. 시는 이를 통해 교량의 경우에 2030년까지 총 8,287억 원(약 34%)의 예산절감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효과적인 재원마련을 위해 시는 지난 2월부터 재정 TFT를 가동, 오는 7월까지 중장기 투자계획('18.~'22.)을 마련한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예산절감효과가 있지만 초기에는 투입비용이 필요한 만큼, 이 부분은 순세계잉여금의 일부활용, 국고보조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선제적 유지관리를 위해 향후 5년간('17년~'22년) 약 7조6백억 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86%(6조6백9억 원)는 자체적으로 재원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자체 노력의 범위를 넘어서는 14%(1조 원)의 부족액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에 적극적으로 국고보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서울은 7~80년대 집중적으로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이 노후화에 접어들면서 90년대부터 유지관리 체계에 돌입한 데 이어 이제는 노후 가속화에 대비해 시설물 유지관리 패러다임의 혁신적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며 “현 시점의 안전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기술·제도·재정 등 시스템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시민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과 적극 협조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경옥 기자 kolee@ikl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