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건설사 잇단 부도 ‘건설업계 다 죽는다’
중견건설사 잇단 부도 ‘건설업계 다 죽는다’
  • 이경운 기자
  • 승인 2012.06.01 22: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풍림산업 이어 우림건설 법정관리 돌입

우림건설이 생존을 위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지난달 중순 채권단에 6,200억원의 출자전환과 43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을 요청했지만 외면당해 무너졌다.

당시 주채권기관인 우리은행은 “농협과 국민은행의 반대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는 입장을, 국민은행은 “지원의사를 밝혔음에도 주채권기관인 우리은행이 협의를 주도하지 않고 있다”며 책임을 돌렸다.

주채권기관인 우리은행과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주단인 국민은행·농협이 800억원 지원을 미루자 부도를 맞고 법정관리에 들어간 풍림산업과 비슷하다.

파이시티(양재동 물류센터 개발) 사업에서도 금융권의 행태가 드러났다. 우리은행은 수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한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자 시행사인 파이시티를 제치고 포스코건설을 통한 사업추진을 모색했다.

건설·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금융권의 대처가 매서워졌다.

“매각할 수 있는 자산이 있다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보다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선택해야 한다” 올 초 법정관리를 조기 졸업한 중견건설사 전찬규 현진 사장의 말이다.

은행이 통제하는 상황에서 자산을 모두 매각하고 나면 살아남을 가능성은 더 적어진다는 이유에서다. 동양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욕을 먹었지만, 조기졸업이 예상되는 점은 자산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008년 말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에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융권 보호에 나섰다.

미국처럼 은행이 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설사를 평가했고 등급을 매겨 워크아웃시켰다.

건설사들은 워크아웃을 위해 자구책을 마련했다. 인력 구조조정, 급여동결, 자산매각 등 금융권의 입맛을 맞춰 살을 깎았다. 그러나 워크아웃에 참여했던 건설사는 처참한 결과를 맞고 있다. 월드건설, 풍림산업, 우림건설 등이 혹독한 워크아웃 이후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벽산건설과 남광토건은 매물로 나왔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워크아웃은 건설사를 살리는 처방이 아닌 수명을 연장하는 수단이었다”며 “국가경제 발전의 기반인 건설산업과 업계를 살려내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