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친환경상품구매 확산이 지구 살린다
[기획]친환경상품구매 확산이 지구 살린다
  • 선병규 기자
  • 승인 2008.10.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녹색구매 확산이 저탄소 녹색성장의 지름길'

공공기관, 산업계, 시민 등 적극 동참 움직임 
온실가스 감축 등 경제적 편익 1천500여억원

 

친환경상품(환경마크, 우수재활용마크)의 보급 및 구매 확산이 녹색성장의 지름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최근 실시한 '친환경상품의 환경.경제적 편익분석' 연구용역 보고에 따르면 친환경상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것으로도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717개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은 1조3,437억원(구매율 69.3%)으로 2006년 8,616억원(구매율 58%)보다 금액상 4,821억원, 구매율상 11.3%나 대폭 늘어났다.


연구용역에서는 이 중 전기 및 전자제품과 건축자재, 사무용 가구 등 20개 품목의 공공기관 의무구매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56만톤(CO2환산)으로 집계한 결과, 이를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했을 경우 85억원에 달했다.


또한 제품제조 전과정(LCA)에서 환경성을 고려한 친환경상품은 사용단계에서 산성화 감소, 수질오염 및 실내공기오염 개선, 유해화학물질 배출감소 등에 따르는 편익과 에너지 저사용을 고려한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즉 사용단계까지의 직접 편익을 포함한다면 경제적 편익은 무려 1,458억원으로 크게 증가한다.


환경부 신총식 환경기술과장은 "만약 시장에서 판매되는 20개 품목의 제품을 모두 친환경상품으로 구매해 사용한다면 온실가스 배출감소 효과는 732만톤으로 추산된다"면서 "친환경상품 구매 및 사용에 의해서만 우리나라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인 5억9,100만톤의 1.2%를 감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 구매 확산이 이뤄질 경우 온실가스 감축 등 지구온난화에 일조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득까지 챙기게 되는 셈이다.


현재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지난 2005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대기업 민간부문에서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을 맺어오고 있다.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은 녹색구매활성화에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의 자율적인 친환경상품 생산 및 구매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산업체 전반에 녹색구매 확산을 유도하자는 취지다.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현대중공업, 웅진코웨이, 신세계, 동부제강, 신한은행 등 100곳이 넘는 기업들이 협약에 그린구매 문화 저변확대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기업들은 한해 예산중 정부가 공인하는 친환경상품인 환경마크와 우수재활용 마크를 중점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자발적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이 구입한 2006년 친환경상품 구매 규모는 1,680억원에서 2007년 2,015억원으로 성장했다.


앞으로 정부, 기업,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친환경상품구매(녹색구매) 시스템이 자리를 잡게 되면, 이명박 정부 최대 목표과제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한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친환경상품진흥원 문승식 구매진흥국장은 "지자체, 중앙 행정기관 등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면서 "향후 기업, 일반 국민까지 확대돼 친환경상품 구매제도가 확산, 정착된다면 자원과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으로 저탄소사회 구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친환경상품진흥원(원장 이상영/koeco.or.kr)은...

녹색구매사회 구축 중추적 역할


친환경상품 생산.소비 촉진을 통한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문화 구현을 목적으로 1994년 6월 환경마크협회로 출발했다.


이후 2005년 9월 법정법인 친환경상품진흥원으로 확대 개편돼 국내 녹색구매 문화 조성 및 확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 ▲환경마크제도 및 환경성적표지제도 운영 ▲친환경상품구매촉진사업 ▲산업계 친환경상품 생산 및 개발 지원 ▲제품환경개선방안 조사 및 연구 등을 수행중이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저감을 도모하는 탄소성적표지제도를 도입하고 탄소성적표지 시범인증 대상제품을 확정(2008년10월 10개품목)했다.


2010년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저탄소제품 인증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