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연,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 개발…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 지원한다
건설연,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 개발…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 지원한다
  • 하종숙 기자
  • 승인 2023.11.30 0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D 성과... 내년 50억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 강화 일익

건설현장 안전사각지대 해소…·AI영상기반 위험요소 예방 효과 기대
‘스마트 안전모’ 기존 안전모에 결합 가능 저비용․고효율 자랑… 업계 부담↓

‘스마트 안전모’ 시작품 3D 모델링.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안전모’ 시작품 3D 모델링.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내년 50억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까지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시행 앞두고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가 개발, 저렴한 가격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의 스마트한 안전관리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이하 건설연)은 2024년 1월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50억원 미만 소규모 건설공사의 위험 요소 분석 및 안전관리 업무지원을 목적으로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년~2022년)의 건설업체 사고 사망만인율[‱, (사고사망자 수/상시근로자 수)×10,000]은 1.75로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평균인 0.46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특히, 50인 미만의 건설 사업장의 평균 사고사망자 수는 343명으로 이는 전체 건설 사업장 사고사망자 수에서 약 7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안전점검 및 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IoT 기반 스마트 안전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영상 수집 및 통신 기능을 탑재한 일체형 스마트 헬멧은 국내 대형 건설회사에서 일부 도입돼 활용되거나 시범적으로 적용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높은 가격, 사용상의 불편함 또는 작업자의 낮은 안전의식 등의 원인으로 보편화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건설연 미래스마트건설연구본부 스마트 건설안전 연구팀(팀장 김태훈 박사)은 경남지역 테크노파크(TP) 패밀리 기업인 (주)오에스랩과 협력, 기존 안전모에 결합이 가능한 저비용․고효율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했다.

건설현장에서의 ‘스마트 안전모’ 착용 예시.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에서의 ‘스마트 안전모’ 착용 예시.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안전모는 통신 기술과 최신의 IoT 디바이스를 안전모에 설치해 작업자가 착용 시 실시간으로 현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설 현장의 심각한 위험 상황 및 크고 작은 사고들을 예방할 수 있다.

스마트 안전모는 차량의 블랙박스처럼 영상 송신 기능, WiFi 및 LTE 통신 기능, 음성 통신 기능, GPS 수신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된 영상은 AI 기반 분석을 통해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해 현장에 경보 알람이 울리기 시작하며, 동시에 즉각적인 구조요청이 관제센터에 전달된다.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사기간 동안 매일 자체안전점검이 필요하다. 시행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담당자가 건설 현장을 순찰하면서 체크리스트의 항목을 점검하는 방식이다. 이때, 안전관리담당자는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해 안전점검 시 놓치는 부분이 없도록 관제센터와의 음성 통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 안전모’는 건설 현장에서 안전관리담당자와 관제센터 간의 음성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안전의 사각지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발된 ‘스마트 안전모’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일반 안전모에 ICT 모듈 기기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기존 일체형 스마트 안전모와 비교시 30%~40% 가격이 저렴, 경제성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창원시의 건축공사 현장에서 실증 테스트를 진행했다. 실증 테스트에서는 통신환경(WiFi 혹은 LTE)에 따라 스마트 안전모와 관제센터 간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평가했다. 또한, 긴급 상황을 가정해 야외 현장에서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한 구조요청자의 위치 오차를 추정했다. 건설현장에서 매일 진행돼야 하는 안전점검을 진행할 때,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한 안전관리담당자가 관제센터와 음성 통신하며 점검항목을 체크했다.

관제 센터 화면. 블랙박스처럼 안전관리 담당자의 시야가 스마트 안전모를 통해 촬영, 해당 화면을 관제센터의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관제 센터 화면. 블랙박스처럼 안전관리 담당자의 시야가 스마트 안전모를 통해 촬영, 해당 화면을 관제센터의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연 김병석 원장은 “개발된 스마트 안전모를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건설산업에 스마트 기기의 보편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특히, 소규모 건설 공사 현장에서의 ICT 기반 안전관리 기술 도입 및 활용의 진입장벽을 낮춰 고질적인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건설연의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적립금사업의 일환으로 ‘건설 현장 안전관리 데이터 수집용 스마트 안전모 개발 및 실증 연구(2023)’를 통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