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리뷰] 10년 후 4%
[전문기자리뷰] 10년 후 4%
  • 하종숙 기자
  • 승인 2023.11.02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10년 후 4%! 

2033년 대한민국 건설엔지니어링산업 건설기술인력 20-30대 비중 수치다.

건설인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건설기술인력이 2023년 현재 50-60대 비중 53%에서 10년 후인 2033년에는 70%에 육박하는 반면, 20-30대는 현재 14%에서 10년 후에는 4%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건설산업이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산업 성장의 근간이 되는 20-30대는 유입 감소와 이탈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과도한 근무시간, 낮은 임금, 불투명한 미래비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는 지목되고 있어 미래 건설엔지니어링산업은 물론 건설산업 발전을 위해 청년 엔지니어 유입, 성장기반 구축이 시급하다.

최근 ‘E&E포럼’은 이같은 청년 엔지니어 유입과 이탈 방지를 위한 집중 토론을 개최, 관심을 모았다. ‘E&E포럼’에서는 ▲산업의 미래 성장 비전 제시 ▲청년 유입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 ▲젊은 엔지니어가 일할 수 있는 근무 여건 조성 ▲엔지니어링산업 이미지 제고 등 4대 추진전략이 제시됐다.

정부, 산업계, 유관단체 등 모두의 노력이 요구되는 사안이다.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대가현실화와 가치 창출!

건축설계업체에서는 공공건축물은 최소 기준대가를 설정,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으나 민간의 경우 공공보다 낮은 대가로 시장에서 가격경쟁으로 내몰리고 있다보니 실제적으로 싼 임금으로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토로하고 있다. 심하게는 민간 설계가 공공의 20% 덤핑가격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하니 문제다. 때문에 민간설계도 최소 대가기준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토목엔지니어링업체는 실효성 있는 정부 정책 추진을 주문하고 있다. 지난 1993년부터 건설엔지니어링산업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 글로벌 건설엔지니어링 배출을 목적으로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이 총 6차례에 걸려 수립됐으나 실효성 있는 성과는 그다지 많지 않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토목엔지니어링업체는 비정상적인 낮은 대가, 가격중심에서 기술중심으로의 전환 정책이 가격경쟁을 더욱 심화시켰을 뿐만아니라 우수인력 취업보장·병역 혜택·소득세 감면 등 실천이 어려운 정책들이 남발돼 시장 혼선을 가중시키고 있어 이의 개선을 촉구했다.

젊은 엔지니어 육성을 위해 많은 노력과 배려도 요구되고 있다. 이른바 MZ세대들은 ‘급여 수준’ 만을 직업의 선택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닌 일에서 재미를 찾고, 그 일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왕이면 벌이도 괜찮은 직업을 원하고 있다고 한다.

국내 건설산업에서 스마트건설로의 발빠른 행보는 빅데이터, AI 등과 융복합을 기본으로 하기에 젊은 엔지니어 육성은 건설산업 지속 성장에 필수 요건이다.

건설산업에서 20-30대 감소와 이탈이 심화, 10년 후에는 건설기술인력 4%는 충격이다.

건설엔지니어링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국가전략 마련, 청년 임금 확보를 위한 대가기준 현실화, 융복합형 글로벌 인재양성 제도 마련…. 청년 인재 확보를 위해 실행이 뒤따라야 한다.

청년 없는 건설엔지니어링산업은 결국 건설산업의 미래도 없음을 인식,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