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리뷰] ESS 도약 첫걸음
[전문기자리뷰] ESS 도약 첫걸음
  • 조성구 기자
  • 승인 2023.11.01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일보 조성구 기자] 지난해와 대비해 2030년 글로벌 설비 규모가 10배 이상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이 있다. 2022년 기준, 국내 설치 규모는 세계 4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신규 설치량은 2018년 최대치를 기록하고 지난해에는 15분의 1로 축소됐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선진국들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이 시장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고 있어 고무적이다. 지난달 31일 산업부는 ESS 산업 현장(LS일렉트릭 글로벌 연구개발 캠퍼스)을 방문해 ESS 핵심부품인 전력변환장치(PCS) 신제품 개발 과정을 둘러보고 앞으로의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핵심 전략은 2036년까지 ESS 시장 점유율 35% 선점으로 미국, 중국과 글로벌 3대 강국으로의 도약이다. 산업부는 정책 추진 배경으로 재생에너지와 원전 등 에너지 믹스에 따른 유연한 전력망 구축 필요성, 침체된 국내 ESS 시장 재도약 지원, 글로벌 시장 선점 전략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도출된 ESS 필요량 26.3GW 구현을 위해 2030년까지 3.7GW를 달성, 2025년부터 연간 600MW씩 확보하고, 전력 계통 안정 확보가 시급한 호남권부터 중앙계약시장으로 2026년까지 1.4GW를 조달한다는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했다.

이미 기술력을 가진 삼원계 리튬전지의 초격차 경쟁력도 유지하고 리튬인산철 전지 양상 추진 계획도 밝혔다. 산업부 보도자료에서 보기 드문 스왓(SWOT) 분석까지 제시하며 산업 시장의 향방을 제시했고 27쪽에 달하는 자료로 ESS를 새로운 에너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의지를 강조했다.

이 같은 모든 전략도 중요하지만, ESS 산업 발전을 위한 가장 핵심은 보도자료 마지막 페이지에 제시된 화재 예방 등 안전관리 체계 강화 방안이다.

2017년 이후 총 50건의 화재 사고 이후 국내 ESS 시장은 급격하게 위축됐다. 산업부는 세 차례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제조사의 ESS 사용연한 보증 의무, 내화기준 격벽 설치 의무화, 전기안전관리자 주기적 점검 의무화 등 다양한 방안을 시행했다. 하지만 그 사이에도 지난해에도 8건, 올해 9월까지 10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대책은 무색했다.

안전관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신재생 연계 ESS 안전성 평가센터’가 주목되는 이유다. 전기안전공사가 올해 준공을 목표로 완주에 구축하는 해당 센터는 화재 예방을 위한 국내 안전기준 개발과 실증, 국제 표준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ESS 사고 분석과 예방, 안전 기술 평가 등, ESS 안전 확보를 위한 싱크탱크 역할에 나선다고 한다. 

50건의 화재가 발생하는 동안 누적된 ‘위협 요인’인 화재로 인한 부정적 인식을 없애는 것이 정책의 1순위가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