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리뷰] 건설안전 ‘후진국’
[전문기자리뷰] 건설안전 ‘후진국’
  • 신용승 기자
  • 승인 2023.07.17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일보 신용승 기자] 건설현장 근로자의 목숨이 풍전등화다.

정부가 기본적인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할 수 있다고 분류한 추락사고가 현장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기술은 ‘선진국’이지만 건설안전은 ‘후진국’이 분명하다.

이달 들어서만 4명 이상의 근로자가 현장에서 추락해 사망, 이 중에는 안전대를 착용했지만 버클이 파단 돼 사망한 사례도 있다.

“고소작업 시 안전대를 착용하는 게 의무지만 2~5m 높이의 경우 근로자들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벗어 버립니다. 현재 안전관리 인력으로는 사실상 통제가 불가능하고 안전대를 체결하기 어려운 환경도 많습니다.”

현장 관계자의 뼈 있는 한마디다.

지난달 정부는 서울시 강남구, 경기도 수원시 등 수도권 7개 지자체의 건설현장 12곳에 스마트 안전장비를 무상으로 설치했다.

IoT 기반의 센서와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지능형 CCTV, 붕괴·변위 위험경보 장비 등을 보급했지만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보인다.

하지만 조금의 긍정적인 신호는 작업자 추락사고로 인한 중상을 방지해 주는 웨어러블 안전장비가 공공기관과 대기업 등에 점차 보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S사는 추락 감지 시 0.2초 만에 에어백이 팽창해 근로자의 머리, 경추, 척추와 골반 등 중상에 취약한 신체 부위를 보호하는 제품을 개발해 유통 중이다.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안전대와 비교해 가격이 10배 이상 비싸다. 건설업계가 구매를 망설이는 이유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의 제도적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웨어러블 장비 착용 의무화 등 강력한 제재와 개혁 없이는 건설안전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씻어낼 수 없다.

건설현장 근로자도 누군가의 아버지, 아들이며 소중한 가족이라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

정부에서 발표한 중대재해 가능성이 높은 3대 요인 중 하나가 추락이다.

강조하건대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웨어러블 장비 확산을 위한 업계의 과감한 투자가 시급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