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일보 현장 25時] 안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ESG 경영이다
[국토일보 현장 25時] 안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ESG 경영이다
  • 국토일보
  • 승인 2022.06.07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명기 국토일보 안전 전문기자
공학박사/안전기술사/안전지도사

ESG 경영은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
입찰과정에 ESG 지표 반영시 중대재해처벌법처럼 요란한 광풍 불어
국토부, ESG 전담조직 구성하고 관련 단체 적극 지원해야

최명기 안전 전문기자/ 공학박사/안전기술사/안전지도사.

안전은 기업 경영과 지속성장 가능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최근 안전은 형사 처벌과 같은 타율적인 법적 규제보다는 기업 자율의 안전보건관리 정책이나 사회적 요구에 따라 필연적으로 비재무적 요소이자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ESG 경영으로 갈 수 밖에는 없는 시대적 상황에 와있다.

여기서, E(Environmenta, 환경 보호)는 기후변화와 탄소배출, 환경오염 및 환경 규제,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등 환경보호를 의미한다. S(Social, 사회적 가치 공헌)는 데이터 보호와 프라이버시, 인권·성별 평등과 다양성, 산업재해, 지역사회 관계를 의미한다. 또한 G(Governance, 지배구조 윤리경영)는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구성, 뇌물 및 반부패, 기업윤리 등을 의미한다.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ESG 평가지표의 우선순위가 바뀔 수는 있어도 작업자 안전이나 소비자 안전은 기업 경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다.

산업통상자원부의 K-ESG 지표 4개영역 61개 지표 중에 안전 분야는 안전보건추진체계, 산업 재해율 2개 지표가 해당된다. 소비자 안전이 제외되어 다소 아쉽지만 이 부분은 언제든지 지표에 추가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소비자 안전은 품질 성능과 연계되어 추후에는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안전은 결국 품질과도 연계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글로벌 ESG 평가 중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지표인 MSCI ESG 지표 중 안전분야는 건강 및 안전, 제조안전 및 품질이 지표에 해당된다. 건설 산업측면에서 살펴보면 공사 중에는 작업자 안전과 보건이 해당된다. 또한 유지관리 단계의 시설물 안전측면에서는 품질에 대한 성능보장이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ESG는 한마디로 사람들의 평판도와 같이 기업의 평판도 라고 할 수 있다. 이 사람은 괜찮은 사람이냐를 묻는 것처럼 이 기업은 괜찮은 기업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다. 아무래도 괜찮은 기업에는 당연히 많은 투자자들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다.

현재 건설분야에서 ESG에 대한 관심은 메이저 대기업 몇 개사를 중심으로 준비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나머지 중소, 중견기업들은 아직도 ESG라는 용어 자체도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관심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조달청은 조달기업의 사회적 책임 평가를 위한 내부지침인 「공공조달의 사회적 책임평가 기본지침(안)」을 마련해서 운영할 예정이다. 이 지침은 조달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 장려규정을 조달평가에 반영하는 조달청 내부 가이드라인이다.

공공조달 분야에서 ESG 도입은 현재 논의 단계 중에 있다. 조달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기본지침 의견수렴과 도입 가능한 분야를 선정해 하반기부터 시범 도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설교통 분야를 주관하는 국토교통부도 이제는 더 이상 방관하지 말고 ESG 경영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필요하면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전담조직이나 관련 단체 등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한 건설업 특성에 맞는 건설-ESG 평가지표도 개발해야 한다,

향후 공공이나 민간공사 입찰과정에 ESG 지표들이 낙찰자 선정에 반영된다면 중대재해처벌법처럼 또다시 요란법석을 떨면서 광풍이 몰아칠 것이다.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이제부터 안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ESG 경영이다.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