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 김진숙 항만정책관
■국토해양부 김진숙 항만정책관
  • 장정흡 기자
  • 승인 2012.03.26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류·인류·미래 공존 선진 항만공간 조성 전력”

부산·광양·울산항, 동북아 ‘컨’ 오일 허브항만 육성

마리나 활성화 육성… 해양레저 조기 저변 확대 앞장

국토해양부 김진숙 항만정책관.
“물류, 인류, 미래가 공존하는 고부가가치 항만 공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대한민국 항만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국토해양부 김진숙 항만정책관은 올해 정책 목표를 이 같이 강조했다.

그는 “올해 무역증가율은 선진국의 수입수요 둔화가 신흥경제국 수출증가세 약화로 이어지면서 낮아질 것이며, 경제성장율 또한 유럽 재정위기 심화,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3% 초반대 성장이 예상된다”며 올해 물류 경기 전망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항만을 국가경제 발전의 전략거점으로 육성 ▲국민이 즐겨 찾는 아름다운 항만공간 조성 ▲기후변화에 대비한 깨끗하고 안전한 항만 건설 ▲항만산업의 세계시장 진출 지원 등 네 가지로 설정하고 적극 추진한다.

먼저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등이 동북아 컨테이너 및 오일 허브항만으로 육성된다.

부산항의 경우 컨부두, 배후단지, 배후수송망을 지속 확충하고, 초대형 선박 출현에 대비 충분한 항로 확보를 위해 기존 15m의 수심을 오는 2016년까지 17m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항만 내에 수리조선소와 선박유 버커링 기지를 올 상반기 안으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광양항의 경우 배후단지, 산단 개발 지원으로 자체물동량 창출기반을 마련한다. 항구 서측 배후단지 2공구(86만제곱미터) 조성을 완료하고, 준설토를 3투기장 내산단부지로 우선 율촌 2산단 조성을 지원한다.

울산항은 오일허브 1단계사업 조기 추진으로 동북아 석유물류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외곽시설을 적기 건설하고, 오일 환적부두 및 저장탱크 민자사업자를 모집해 올해 하반기에 투기해 추진한다.

김 정책관은 “배후권역, 잠재력 등을 감안한 항반별 특성화 전략 추진으로 항만과 주변지역을 지역경제 활성화 거점으로 개발하겠다”며 국가기간산업 지원을 위한 맞춤형 산업항만 육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를 위해 서해권의 평택·당진항 제철부두는 3선석을 올 12월에 완공하고, 목포신항 석탄부두 1신석을 6월에 착공, 새만금신항 1단계 방파제는 4월에 착공된다.

남해권 마산항은 1-1단계 민자부두 4선석을 12월에 완공할 예정이며, 여수항 엑스포지원시설 건설은 3월에 완공됐다.

동해권도 민·군 복합기능의 울릉(사동)항 2단계 사업을 12월에 착수하고, 동해항 석회석, 석탄부두 등 3단계 계획을 수립해 예비타당성을 수행 중이다.

국가미항 조성계획 수립을 위해 지경학적 입지와 배후 관광자원 등이 우수한 부산·인천·제주항 등을 미항으로 단계적 육성한다.

이에 대해 김 정책관은 “항만내 공해성 시설, 미관 저해시설 등을 대체부지로 이주·집적시키고, 당해 항만을 친수 및 친경관지역으로 조성할 계획”이라며 “우선적으로 부산 영도의 수리조선단지, 바지선 정박시설 등의 정비를 통해 이 지역을 센토사섬과 같은 명소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마리나 활성화 및 산업 육성책 마련도 추진된다.

해양레저 저변의 조기 확대를 위해 연안항, 유휴어항 등에 서규모 마리나를 우선 조성하고, 국가와 지자체 공동 추진이 가능한 마리나를 발굴해 지역 거점 공공마리나로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올 7월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동북아 물류장관회의에 앞서 그간 논의돼 온 항만국장회의 추진성과 합의를 도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재해로부터 안전한 항만구축 ▲에너지 자립형 항만구축 ▲적극적인 교류활동으로 신규 협력국가 및 사업 확대 사업 등이 추진된다.

김 정책관은 “글로벌 경기침체기, 민자부두 동시개장으로 운영사간 과다경쟁 등 기업들 입장에서 반갑지 않은 여건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끊임없는 고민을 통해 항만 정책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다양화 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