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의 날 특집]최삼규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회장에게 듣는다
[건설의 날 특집]최삼규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회장에게 듣는다
  • 장정흡 기자
  • 승인 2013.06.18 0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산업 각종 규제 과감하게 완화 SOC 등 건설투자 확대가 경기진흥 지름길”

건설산업, 타산업과의 융·복합 강화 새로운 틈새시장 개척 시급

‘건설산업=유상복지사업’ 인식… 민자 활성화 대책 마련 촉구

분양가 상한제·과도한 하도급 규제 등 기업경영 애로 해소 필요

최삼규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회장.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틈새시장을 개척해야 합니다.”

현재 건설산업 침체 돌파 방안에 대해 이 같이 주장한 최삼규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장.

건설의 날을 맞아 그는 앞으로의 건설산업은 스마트빌딩 등 건설구조물과 생명공학을 연계시킨 새로운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건설산업은 지난해 해외건설 5,000억달러 수주를 달성했다. 하지만 이 같은 해외건설의 괄목할 성장에도 불구, 국내 건설경기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도래한 이후 5년째 침체기를 거듭하고 있다.

‘2013 건설의 날’을 맞아 최삼규 회장을 통해 국내 건설산업계 현실을 진단하고, 건설시장 정상화 촉진 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건설의 날이 갖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지난 66년간 건설산업은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을 이끌어 왔으며, 수많은 난관에 봉착했을 때마다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위기극복의 선도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국내 산간오지에서부터 태양이 작렬 하는 해외사막에 이르기까지 한국경제 성장의 최일선에서 건설한국의 브랜드를 전 세계에 알리는 등 산업의 맏형 역할을 다해왔습니다. 건설의 날은 이런 건설인의 노고를 축하하는 날입니다.

그러나 마음 한켠에는 건설산업의 현실이 너무 어두워 기뻐할 수만도 없는 게 사실입니다. 최근 건설환경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년째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도 결코 밝지만은 않기 때문입니다.

 

-건설경기는 금융위기 후 계속 악화일로에 있습니다. 현재 시장 상황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습니까.

▲현재 건설시장 상황이 매우 어렵습니다. 건설산업 위기 요인으로는 우선 공공부문의 건설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한 점과 주택·부동산 시장의 심각한 침체를 들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 시대 확장 국면을 마무리하고 있는 우리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 측면도 있지만, 국가 경제 성장에 지속적으로 필요한 적정한 건설 투자가 부족했고, 건설 및 부동산 정책이나 제도가 지나친 규제로 작용해 침체를 가속화 시킨 영향도 크다고 봅니다.

건설수주 규모만 보더라도 지난해에 101조5,000억원으로 200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100대 건설사 중 21개사가 법정관리 또는 워크아웃상태로 전체 건설업계가 느끼는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입니다.

향후에도 국내외 경기침체, 주택경기 부진, 노령화 및 경제성장률 둔화 등으로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반면 친환경 시설투자 확대, 해외시장 경쟁력 강화, IT·BT 등과 융합 건설상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 뒷받침된다면 희망적 요소도 있다고 봅니다.

 

-건설사 경영에 영향을 미칠 요인 가운데 가장 큰 리스크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현재 우리 업계는 3가지 커다란 위협에 노출돼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앞서 말씀 드린대로 건설물량이 줄어들었다는 점입니다.

4대강 사업과 여수 엑스포 등 대형 국책사업이 마무리 됐지만, 새 정부가 표방하는 복지우선정책으로 SOC 등 공공공사 발주 물량은 늘어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민간건설경기도 앞서 얘기했듯이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두 번째로는 업계의 재무구조가 날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부동산 PF로 인한 이자부담 및 미분양주택의 적체로 건설업체는 언제 부도를 맞이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특히 최저가낙찰제의 확대시행 등으로 건설업매출액 순이익률도 2012년 0.5%로 급감해 2010년(2.2%), 2011년(1.4%)에 비해 우려할 정도로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건설정책의 일관성 저하 및 각종 규제가 지나치게 많아서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막고 있다는 점입니다. 분양가 상한제, DTI 및 LTV 등 금융규제 등 부동산 거래 및 경기를 옥죄는 규제와, 과도한 하도급 규제 등은 그나마 건설기업이 자율적으로 경영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막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건설시장의 정상화 촉진을 위한 대안들은 무엇이 있습니까.

▲우선 주택·부동산 및 건설산업 전반에 대한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완화해 시장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해야 합니다. 아울러 SOC 등 건설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돼야 할 것입니다.

최근 복지재원 마련을 위해 SOC 투자가 축소되고 있으나, 일자리 창출 및 서민경제 활성화에 기여도가 큰 건설산업이야말로 ‘유상복지’ 사업입니다. 이를 위해 국민생활과 밀접한 인프라 투자 확대 및 민간자본 활용을 통한 민자사업 활성화 대책도 강구돼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제값받고 제대로 건설하는 건설 생산체계’가 마련돼야 합니다.

소위 ‘슈퍼갑’이라 불리는 발주처의 ‘제값주기’를 위해 부당한 공사비 삭감 관행이 철폐돼야 하며, 최저가낙찰제와 같은 가격중심의 입찰제도는 ‘제대로 시공’하기가 곤란한 만큼 최저가낙찰제는 폐지돼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새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및 중소건설사 지원이 뒷받침 돼야 합니다.

건설산업이 IT·BT 등 첨단 기술 및 문화산업과 융·복합을 통해 미래산업으로 변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업계의 99.9%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건설업체의 육성, 지원 대책을 별도로 마련해 건설산업의 장기적 발전과 지역경제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향후 건설산업이 나가야 할 방향과 이를 위해 업체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요.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수준의 IT, BT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 분야와 건설산업을 연계한 소위 융복합화 산업으로 바꿈으로써 새로운 틈새시장을 꾸준히 만들어 갈 필요가 있습니다.

예컨대 인텔리전트빌딩, 스마트빌딩과 같은 첨단 업무시설 및 주거용 건설 그리고 건설구조물과 생명공학을 연계시킨 바이오 시티 등 새로운 기술 및 산업트렌드에 맞춰서 건설산업의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업계 스스로가 생활밀착형 SOC, 도심재개발, 제안형 민관복합개발, IT, BT, 문화와 결합된 새로운 건설수요 창출, 민자사업 등 새로운 건설일감 창출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다운사이징이 요구됩니다. 안정성과 수익성을 최우선시하는 수주전략, 재무적 안정성을 중시하는 재무전략 수립, 리스크경영의 도입 및 상시적 운영체계 구축, 새로운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신성장 동력사업 발굴 등이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