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장항제련소 토양정화 사업 '순풍'
구 장항제련소 토양정화 사업 '순풍'
  • 선병규 기자
  • 승인 2018.05.04 1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환경공단 전병성 이사장과 환경전문기자회 현장 팸투어 진행

▲ 환경공단 전병성 이사장은 3일 본지를 비롯한 환경기자회(회장 신미령) 소속 17명의 기자들을 초청해 구) 장항제련소 토양정화 현장을 탐방하는 ‘장항토양 정화사업 팸투어’를 진행했다.

[국토일보=선병규 기자] 한국환경공단 전병성 이사장과 환경전문기자회 소속 기자들간 팸투어를 통한 소통 시간을 가졌다.

환경공단은 3일 본지를 비롯한 환경기자회(회장 신미령) 소속 17명의 기자들을 초청해 구) 장항제련소 토양정화 현장을 탐방하는 ‘장항토양 정화사업 팸투어’를 진행했다.

현재 사용 종료후 폐쇄된 충남 서천지역의 장항제련소는 일제강점기인 1936년 우리의 광물자원 수탈을 위해 설립됐다.

1930년에 장항항이 개항하고 곧 이어 1931년 장항선 철도가 들어서며 장항은 점차 발전하기 시작했다.

기차와 항로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많은 금과 은, 식량들이 일본에 수탈됐다. 장항제련소도 당시 국제 통화수단이었던 금을 생산하기 위해 지어진 목적이 크다.

장항제련소는 광복 이후 1948년 8월부터 1971년 5월까지 국가에서 운영했으며, 1971년 6월부터 민영화되면서 1989년 6월까지 운영되다가 용광로를 폐쇄하면서 운영을 종료했다.

장항제련소는 1971년에는 민영화를 이루고 1974년 1만5,000톤, 1976년 5만톤 규모로 생산량이 확장되면서 한국의 산업화에 기여했다.

그러나 1936년부터 1989년까지 제련소 운영과정에서 제련소 굴뚝을 통해 중금속 물질이 비산돼 주변지역의 토양오염과 농작물 피해를 유발하는 등 환경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에, 환경부 등 정부합동으로 2009년 7월 ‘구 장항제련소 주변지역 토양오염 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했고, 한국환경공단을 대행 사업자로 선정했다.

환경부와 환경공단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부지를 매입해 지역주민을 이주시키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등 일제강점기와 근대 산업화로 인한 환경피해의 상처를 지우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는 중이다.

환경공단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제련소 반경 1.5~4㎞구간(비매입구역)의 오염토양 정화사업을 성공적으로 종료한 데 이어, 2차 사업으로 2019년 말까지 제련소 반경 1.5㎞이내 지역(매입구역)에 대한 토양정화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매입구역 사업대상지인 제련소 반경 1.5㎞이내 지역은 비소 등 중금속의 오염정도가 심해 거주민에게 환경피해가 우려됐던 곳으로, 정부에서 토지를 매입해 거주민 이주를 장려하고 건강상 위해를 차단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특히, 식생이 양호한 송림숲 등에 대해서 식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위해성평가 결과에 기반한 토양정화’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고 있다.

전병성 공단 이사장은 “기존 방식으로 송림숲 등의 식생 양호지역을 정화할 경우 약 302억원이 들지만, 대안공법을 적용하면 164억원이 소요돼 138억원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장항제련소는 1971년에는 민영화를 이루고 1974년 1만5,000톤, 1976년 5만톤 규모로 생산량이 확장되면서 한국의 산업화에 기여했다.(저 멀리 구 장항제련소 굴뚝이 보이고 있다)
▲ 환경공단 토양정화팀은 2차 사업으로 2019년 말까지 제련소 반경 1.5㎞이내 지역(매입구역)에 대한 토양정화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