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율주행산업 기반 일자리·신사업 모델 창출
국토부, 자율주행산업 기반 일자리·신사업 모델 창출
  • 김주영 기자
  • 승인 2018.03.20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학연 자율협력주행 연합체 발족···인프라·데이터 공유·시험환경 등 적극 지원

[국토일보 김주영 기자] 정부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자율주행산업을 통해 일자리, 신규 비즈니스모델 창출을 위한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그 일환으로 산학연 자율협력주행 연합체를 발족했다.

국토교통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성장을 선도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21일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산학연이 함께하는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를 발족했다.

행사는 조정식 국토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자동차·전자·통신 관련 대·중소기업, 도로공사, 교통안전공단 등 산학연 관계자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글로벌 기업들과 세계 주요 선진국은 2020~2022년경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 중이다. 특히 상용화 시기가 다가오면서 세계시장 규모가 2020년 1,890억 달러에서 2035년 1조 1,520억 달러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율주행차는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의 융복합체다. 그만큼 자율주행차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산업군에 속한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다.

실제로 자동차제작사는 물론, 구글, 애플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업체까지 자율주행 관련 기술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경과 업종을 초월한 합종연횡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세계적 흐름에 대응하고, 기술 간 융합을 통한 혁신 성장을 선도하기 위해 자동차·인프라·통신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과 함께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를 발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합체는 당장 사업화 추진이 가능한 스마트 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C-ITS(통신), 보안, 지도 3개의 기술 분과로 우선 구성됐다. 기술 분과위 내부 기술교류를 시작으로 인프라 관련 표준과 인증 제도를 조속히 마련해 인프라 산업 투자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기술이 어우러져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설명회, 전문가 컨설팅, 데이터 공유, 시험환경 제공 등 정부 지원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학술 토론회를 개최해 서로 다른 업종 간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인프라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관련 이슈와 정부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특히 정보 접근성이 약한 중소기업이 사업 투자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 공유 등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향후에는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함께 신규 투자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요한 분과를 발굴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적극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행사는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딛는 것으로, 발족식에 이어 열리는 1차 학술 토론회에서 자율협력주행 관련 주요 기업이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및 사업추진 계획을 소개했다.

먼저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기반 자율주행, 인프라와 결합된 자율협력주행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2021년까지 도심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무인셔틀버스, 로봇택시 등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개발 계획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신규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5G와 커넥티드 카의 비전을 제시하고, 통신 인프라, 반도체, 차량 단말기가 결합된 자율주행 인프라 및 플랫폼 구축을 중심으로 사업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SK텔레콤은 자율주행을 위한 초정밀지도와 5G 통신을 활용한 커넥티드 서비스 부문에 집중할 계획으로, 케이시티(K-City)에서 5G 서비스를 개발한 사례를 발전시켜 중소기업과 상생․협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중소기업인 이씨스는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인프라, 통신부품 등에 집중 투자할 계획으로, 퀄컴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현황을 소개했다.

아울러 내달 개최될 2차 학술 토론회에서는 자율주행 시대 보험제도, 자율주행차 제작․운행 관련 가이드라인(안), 도심 스마트 인프라 구축시 민관 협력 방안 등 자율주행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 김현미 장관은 “한국이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후발주자라는 평가가 있지만, 강점인 인프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다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고 세계를 선도해 나갈 수 있다”며 “협의회를 통해 모두가 함께 성장하며 양질의 일자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같이 국민 피부에 와 닿는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 운영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 뿐만 아니라 인프라, 소프트웨어, 정보통신, 교통서비스 등 관련 산업발전에 긍정적인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차량 단말기 개발․확산, 정밀지도․통신 기지국 등 스마트 인프라 구축 뿐만 아니라 자동차 공유 서비스(카 셰어링), 무인셔틀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면 다수의 새로운 청년 일자리도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