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정산’·‘수집’ 분리 구축… 차별화 ‘특징’
변화하는 교통·통신·환경 맞춤형 기술 ‘자랑’
[국토일보 이경옥 기자] 지난 1997년 도입된 수도권 전철 교통카드시스템은 현재 수도권 전철구간은 물론 버스까지 전 교통구간에 도입, 이용객 편리 제고는 물론 전철 운영기관 및 버스운영사업자에게도 비용절감을 유도하며 편리한 교통체계로 정착됐다.
서울도시철도 교통카드시스템 구축 주관 부서는 서울교통공사 전자처로 현재 2기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사업이 한창이다.
대한민국 대표 기술력으로 자리매김한 ‘교통카드시스템’은 지난 20년동안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2기 구축사업에 대한 기대감은 또다른 기술력 창출이란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17 철도의 날을 맞아 대한민국 교통IT 기술력의 꽃이자 교통이용문화를 확 바꿔놓은 ‘서울도시철도 교통카드시스템’이 2기 사업으로 더 큰 도약의 청사진을 알아봤다.
■ 교통카드시스템 도입·운영
수도권 전철의 교통카드시스템은 1997년 일부 역사에 교통카드를 처리할 수 있는 기기의 시범설치를 시작으로 도입돼 2001년 수도권 전철 전 구간 승차권용 자동개집표기에 교통카드를 처리할 수 있는 교통카드단말기를 부가 설치해 모든 개집표기에서 교통카드 처리가 가능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했다. 또한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당시 버스와 환승 시 환승할인율을 적용해 교통카드 이용확산을 도모했다.
이후, 서울시 정책에 따라 2004년 서울시 신교통카드시스템 구축 사업(통상 1기 교통카드 사업)을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LG CNS컨소시엄이 한국스마트카드(주)의 정산회사를 설립해 수도권 모든 도시철도 운영기관과 수도권 버스(마을버스 포함)의 교통카드시스템을 전면 개선 신규 구축해 지하철과 버스의 통합거리요금제를 시행했고 새로운 고급형 선불카드 발급과 정산사업을 시작하게 됐다. 2006년 정기권 카드 도입, 2009년 1회용 장비 도입 구축으로 수도권에서 기존 MS 종이 승차권은 역사 속으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 2기 교통카드시스템 구축 사업
2004년에 도입된 1기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사업의 민간사업자 운영기간은 10년으로 2013년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도록 했으나 당시 정산업자의 독과점 문제 등 시민단체 등의 문제제기로 서울시 교통카드시스템 운영사업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해 사업을 추진하도록 시장방침을 수립하게 됐다.
정산을 담당하는 정산부분과 거래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분야 마지막으로 교통카드 단말기 등의 인증부분으로 분리했다.
정산부분과 교통카드단말기 인증 부분은 현재 한국스마트카드가 사업자로 선정돼 운영하고 있으며 수집분야는 2013년 서울시 주관으로 입찰을 진행했으나 소송 등으로 결국 입찰이 취소되고 2016년 서울시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주관이 돼 입찰을 진행했다.
2016년 11월 2일 새로운 사업자 에스트래픽 컨소시엄과 협약을 체결해 현재 2기 교통카드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전자처 관계자는 “서울시 도시철도 운영기관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사업은 지난 해 11월 3일부터 올해 11월 2일까지 1년 동안 구축기간을 갖고 구축완료일로부터 10년 동안 운영에 들어간다. 시행주체는 서울교통공사이며 사업시행자는 (주)에스트래픽 컨소시엄(에스트래픽 95%, 현대정보기술 5%)이다”면서 “비예산사업으로 사업시행자는 교통카드 이용금액 중 수수료 1.5% 징수한다. 이번 2기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으로 교통카드 단말기 및 기타 기기, 집계시스템, 수집센터시스템을 전면 개선하고 자동개집표기 일부 개량, 1회용 장비 개선 등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 중인 교통카드시스템을 개량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