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플랜트 수주에 단비
[사설] 플랜트 수주에 단비
  • 국토일보
  • 승인 2009.09.18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올 상반기까지 격감세를 보였던 플랜트 수주 실적이 국제유가 반등에 힘입은 중동지역의 대규모 공장설비 발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유가 상승의 촉매제로 작용하는 세계 경제의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다 철강가격도 안정 양상을 보이고 있어 중동지역의 플랜트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희소식까지 가세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전년대비 67%나 급감하면서 위기감에 휩싸였던 플랜트 수주가 이런 회복세를 지속한다면 오는 2012년 ‘세계 5대 플랜트 강국’ 실현도 어렵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문제는 국내업체끼리의 출혈 경쟁을 어떻게 개선해 나가고, 저가를 무기로 들고 나오는 중국 업체들의 도전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가 하는 게 관건이다.

 따라서 이미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금융지원방안과 함께 이런 미시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정밀한 대응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한국 업체들의 중동 건설수주액이 지난 7~8월 두 달 동안에만 무려 125억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년 상반기만 해도 74억달러에 불과했던 실정이었다.

그 배경은 하반기에 국제유가가 반등하고 철강가격이 안정된 탓이다. 이로 인해 7월 한 달 동안 해외수주의 90%가 중동지역에서 확보되는 기록도 세웠다.

 당초 올해 해외 건설 수주가 흉작이 될 것이라고 걱정했던 정부와 건설업계도 이런 반등세에 힘입어 중동 건설 수주액이 하반기에 330억달러를 기록하고, 올해 연간으론 4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을 정도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대다수의 전문가들이 세계 경제의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유가가 상승하면서 중동의 플랜트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의 서부텍사스유(WTI)는 6개월 전보다 평균 50% 가까이 상승한 상태다.

 사실 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해외건설 수주가 빠르게 살아나고 있는 것은 현지의 경제여건 호전에 힘입은 바 크지만 한편으론 지난 40년간 다져온  한국 업체의 기술 등 경쟁력이 인정받고 신뢰감을 쌓은 결과라고 우리는 믿는다.

한국 업체들이 뛰어난 시공 능력을 가졌다고 평가되는데다 환율도 안정세를 보일 경우 국내 업체의 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기에 더욱 그렇다. 더구나 플랜트 수주 호조에 이어 선박 수주마저 바닥을 치고 회복되면 우리 경제의 불황탈출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기까지 한다.

 따라서 해외건설, 특히 플랜트 수주를 뒷받침하기 위한 범정부적 차원의 지원도 상대적으로 강화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정부가 오는 10월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가 공동 참여하는 플랜트 수주지원협의회를 구성키로 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시의 적절한 대응으로 평가될 만하다.

 특히 이달부터 글로벌 인프라 펀드를 통해 해외공사에 대한 파이낸싱을 지원키로 한 것은 우리 기업들의 가장 큰 애로 사항인 금융문제라는 점에서 큰 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차제에 이런 금융지원 시스템의 폭을 확대하고 질도 높이는 과감한 접근으로 오는 2012년까지 정부가 목표로 하는 세계 5대 플랜트 강국 진입의 꿈이 실현되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아울러 업계 차원의 경쟁력 강화와 체질 개선 노력도 이 기회에 다시금 점검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그 핵심 사항으로 외형 성장에 걸맞은 내실 보강을 주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미 알려진 바처럼 플랜트 공사는 설비 기자재 조달이 전체 공사비의 50~60%를 차지한다.

그런데 전체 설비 기자재 중 국내산은 30%에 불과하고 대부분 핵심 기자재는 외국산에 의존하고 있는 게 우리 업체들의 실상이다. 외형적인 수주 금액은 커도 실익이 크지 않다는 뜻이다.

 그 이유는 우리 업체들에 원천기술이 없는 탓이다.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자체 기술 개발 노력과 업체 간 협력이 절실한 이유다. 그래야 해외건설이 실속 잇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