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 2030까지 행복도시 광역권 '단일생활권'으로 묶는다
행복청, 2030까지 행복도시 광역권 '단일생활권'으로 묶는다
  • 세종=황호상 기자
  • 승인 2017.04.19 1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정구역 구분 없이 40분 내 교류 가능한 BRT 교통체계 구축

▲ 행정중심복합도시청이 2030년까지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한 광역 단일생활권을 조성한다. 사진은 6대 도시거점과 4대 광역거점.

[국토일보 황호상 기자] 오는 2030년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를 중심으로 40분대 교류가 가능한 대중교총체계가 구축돼 '400만 단일생활권'이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행복도시 광역권을 하나의 공동 생활권으로 묶기 위한 ‘행복도시 2030 광역대중교통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고 19일 밝혔다.

행복청은 지난 2007년도에 광역도시계획과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한 바 있다. 이후 2012년 첫마을 입주 및 정부청사 이전과 함께 광역 대중교통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광역 간선급행버스체계(광역BRT)’ 운영을 위해 광역교통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광역대중교통망 구축에 나섰다.

앞으로 행복청은 행복도시 인근 지역을 단일 생활권으로 만들기 위해 ▲광역BRT 인프라 구축 ▲광역BRT 세계적인 수준으로 고급화 ▲BRT 요금체계 통합 ▲광역대중교통 행정․운영시스템 구축 등에 나서기고 했다.

먼저 광역BRT 인프라 구축 계획은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반경 20km 내 위치한 6대 도시 거점(오송역, 청주터미널, 신동둔곡지구, 반석역, 공주터미널, 조치원역)을 하나로 묶는데서 시작된다. 이를 위해 6대 거점에서 각 도시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BRT 동선 단축 및 정류장 통합 등 환승시설 개선에 나서게 된다.

동시에 반경 40km 내 위치한 청주국제공항, KTX대전역, KTX공주역, KTX천안아산역을 4대 광역교통 거점도 설정, 광역BRT로 40분대에 연결할 방침이다.

동시에 광역 핵심 교통수단인 광역BRT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탈바꿈, 첨단 교통수단 이미지에 맞게 차량·정류장 디자인을 개선하게 된다. 또 BRT 애칭을 부여해 광역도시권의 대표 교통수단 브랜드 이미지를 부각시켜 관광 상품화한다.

BRT 정류장은 전철역과 같이 출입구에서 요금을 먼저 내는 시스템을 도입해 빠른 승하차 환경을 조성하고, 연내 도램마을, 청사 북측, 첫마을 등 3개소에 신교통형 BRT 정류장을 설치할 계획이다. 참고로 2020년까지 도시내부의 모든 정류장을, 2030년까지는 광역권 전체 BRT 정류장에 확대 설치한다.

무엇보다 BRT 전용차량을 친환경연료 차량으로 교체하며, 향후 자율주행도 염두에 두고 개발에 나선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은 2020년까지 BRT 전 구간에 대해 적용하도록 서울대․자동차안전연구원․현대자동차․네이버랩스 등과 협업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재 행정구역별로 상이한 BRT 요금체계 통합도 추진한다. 광역권 내 거점 지역들을 연결하는 대중교통수단인만큼 기본요금체계를 단계적으로 단일화해 나가고, 광역BRT를 주민들이 쉽게 이용하도록 무료 환승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정보관리(전산센터) 및 정산 체계를 구축한다.

이밖에 광역BRT 시스템 구축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광역대중교통 행정․운영시스템’ 구축을 모색한다.

이충재 행복청장은 “세계적인 광역도시권 간 경쟁 시대에, 광역대중교통을 기반으로 한 공동생활권 실현은 행복도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선택”이라며 “행복도시권에서 광역대중교통의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 공동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 광역 대중교통행정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행복청은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청주, 공주시 등 6개 기관과 지난 2013년 광역교통협의회를 구성해 광역 교통 현안을 논의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