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위치기반서비스, 언제·어디서나·누구나·정확하게 사용한다
미래 위치기반서비스, 언제·어디서나·누구나·정확하게 사용한다
  • 김주영 기자
  • 승인 2017.04.08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연결사회 위치기준체계 토론회 '성료'

[국토일보 김주영 기자] 미래사회는 사람과 사물, 그리고 공간 등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초연결사회의 모습을 띄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도 다양한 정보를 생성·수집되고 공유·활용할 수 있는 발전된 위치기준체계를 만들기 위한 준비태세에 돌입했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7일 ‘초연결 사회 위치기준체계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국토지리정보원 최병남 원장 등을 포함해 위치기준체계 관련 산·학·연·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토론회는 위치정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국가 위치기준체계의 발전상과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통해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서 위치정보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중점을 뒀다.

이에 국토지리정보원은 공간정보산업협회(회장 이동희)와 함께 초연결 사회에 대응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난 연말부터 ‘초연결 사회 위치기준체계 연구회(회장 가천대학교 박홍기 교수)’를 조직해 관련 연구를 후원했다.

초연결사회위치기준체계연구회는 전통적인 측량․측지 기반의 위치기반체계에서 벗어나 미래 환경 및 기술에 부합하는 새로운 위치기준체계의 비전과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자 관련 전문가 15인이 모여 지난 4개월간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수요자 중심의 위치기준체계 마련을 위해 위치정보가 많이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스마트카, 무인비행기, 지하 공간, 구조물 모니터링, 방재·안전, 실내공간 정보, 위치기반 사회관계망 서비스(LBSNS), 레저 등 주요 분야에서의 환경 및 기술 수요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이 중에서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장애요소였던 위성항법시스템(GNSS)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측량 인프라 구축 및 센서 융합 기술 개발, 스마트폰 등 보급형 기기에서의 위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등 관련 업계가 손톱 밑 가시로 느껴왔던 사항들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원방안이 포함돼 있다.

무엇보다 국가 위치기준체계 관련 연구개발(R&D) 및 정책 등에 대한 발표로 향후 관련 정책 및 기술개발에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날 연구회는 국민 생활 속에 연결성이 확보된 정밀 초연결사회 위치기준체계 제공을 비전으로 지상·지하·공중·실내 등 위치에 상관 없이 사용 가능한 위치기준체계 정립 및 동적 위치기준체계를 정립했다.

특히 센티미터(cm)급 위치기준체계로 국민안전 증진 및 민간산업 활성화에 방점을 뒀다. 이를 위한 실행전략으로는 기술 R&D와 정책 R&D 추진 등을 제시했다.

먼저 기술부문 R&D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GNSS와 비콘 등 센서 융합 기술개발로 GNSS 음영지역 해소하고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보급형 고정밀 GNSS 수신기 개발로 민간 위치기준 및 위치정보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책 R&D로 추진할 방안은 민간 측위서비스 및 위치정보 제공 관련 법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조언했다. 동시에 위치기준체계 사업 추진방향으로는 동적위치기준체계 구축 사업, 무인비행기 격자좌표계체 구축 사업, 실내 측량기준점 구축 사업 등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최병남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다가오는 초연결사회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 정확한(Accurate)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4A 시대로, 이번 토론회가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