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역 스크린도어 참사, 수리체계 전면 개선해야
구의역 스크린도어 참사, 수리체계 전면 개선해야
  • 김주영 기자
  • 승인 2016.05.30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크린도어 수리 시. 전(前)역에 ‘스크린도어 보수작업 中’ 안내문 부착하자

[국토일보 김주영 기자] 지난 28일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또 다시 스크린도어(PSD) 참사가 발생했다. 승객의 안전만 책임지는 스크린도어가 이제는 ‘유지보수업체’ 직원의 안전도 책임져야 하는 새로운 숙제를 안겨줬다.

사실 지하철(도시철도)운영기관은 개통 이후 스크린도어를 추가 설치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비용을 지출했다. 더욱이 관리 차원에서도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춰져 있어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린도어 참사 후속대책도 공염불에 그치고 말았다. 앞서 발생한 강남역 스크린도어 사고 이후 마련된 후속대책 중 하나인 ‘2인1조 운영체제’가 이를 증명해준다.

현재 많은 언론매체는 ‘2인1조 운영체제’를 지키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지적만 이어진다. 그러나 영세업체이기에 당장 이 원칙을 따를 수도 없는 게 더 심각한 문제다. 정녕 당장의 유지관리업체 직원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대안은 없는 것일까.

며칠 전 한 포털사이트 게시판에서 본 글이 떠올랐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비누생산업체가 포장 불량을 없애기 위한 엑스레이 기계 설치에 총 65만 달러를 투자했지만 기계 도입 전 신입사원 한 명이 해당 공정에 선풍기를 설치해 불량률을 0%로 낮춘 것. 비용은 1만 3,0000배 차이나는 단 돈 50달러.

스크린도어 수리에 있어서도 현명한 대안이 필요하다. 비용 문제를 당장 누가 책임질 수 없다는 게 현실적인 숙제이기 때문이다.

반복되는 참사의 원인은 ‘기관사’가 스크린도어 수리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문제만 개선하면 되는 셈이다. 바로 이 부분을 서울메트로를 비롯한 지하철 운영기관이 직시해야 한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지만 이번 참사를 예로 들어보자. 잠실역으로 향하는 구의역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를 수리하고 있는 경우다.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에 앞서, 진행방향으로 전(前)역에 속하는 건대입구역‘ 역무원이 기관사와 부기관사가 볼 수 있도록 ‘발차위치’와 ‘출입문 개폐장치’에 [다음역에서는 현재 스크린도어 수리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라는 안내문구를 각각 부착했어야 한다. 이후 수리용역업체 직원에게 “XXX호 열차 이후 수리 작업 허가”를 내렸으면 참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2중 안전장치로 구의역 승강장의 진입지점에 새로운 색깔의 깃발, 예를 들어 ‘주황색(붉은색 깃발은 ‘정지’를 하라는 의미를 내포함) 안전깃발‘제도를 신설해 부착하는 것이다. 해당 역의 스크린도어가 수리 중이란 사실을 다시 한 번 인지시켜주기 위해서다.

특히 야간 및 지하역사일 경우에 대비해 ‘형광물질’이 묻어있는 깃발을 사용, 기관사의 인지를 도울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형광물질 깃발이 사용 중이라면 형광 기능이 사라지지 않도록 새로운 관리 규정을 세우기면 하면 된다.

수사당국은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와 관련된 대책회의를 열어 수사 범위를 검토하고 있다. 안전사고의 '구조적 문제'를 파헤치겠다는 방침이란다. 그래서 역무실 책임자, 용역업체 직원 등이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고 사고 당시 관리·감독 책임이 누구에게 있었느냐를 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누구도 쉽게 책임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참사로 유명을 달리한 고인 만이 답을 알고 있을터니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스크린도어는 우리말로 순화하자면 ‘승강장 안전문’이 된다. 이 안전문이 승객의 안전만 지키는 반쪽짜리 안전문이 되어선 안 된다.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직원의 안전도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코레일 등 전국에서 전철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이라면 ‘스크린도어’ 수리에 대한 안전 강화에 비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기보다, 큰 비용 지출 없이 효율적으로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고로 고인이 된 김모 씨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