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지진대비 내진대책 강화 방안 시급하다
[전문가 기고] 지진대비 내진대책 강화 방안 시급하다
  • 국토일보
  • 승인 2016.05.16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재봉 연구교수 / 건설연구인프라운영원 지진방재연구센터

공공시설물․학교시설물 내진보강율 ‘매우 낮은 수준’ 집계 ‘문제’
국내 실정 부합한 설계.내진 보강방법 확대 내진보강율 제고해야

김 재 봉 연구교수
지난달 16일 우리나라 동남권 지역에 영향을 줄 만큼 강력했던 일본 규슈에서 발생한 지진은 국민의 불안감을 증가시켰다.

최근 이른바 ‘불의 고리’라고 일컫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한 일본과 남미 에콰도르에서 지진활동이 급증했다.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에서 규모 6.4(4/14 21:46)와 규모 7.3(4/16 01:25), 에콰도르 페데르날레스에서 규모 7.4(4/17 08:58)의 강진이 지구촌을 흔들고 있다.

정부에서는 1995년 일본 고베지진 이후 자연재해대책법 등을 통하여 지진방재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비용 등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지진재해에 대한 대책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내진설계 대상 기존 공공시설물 중 공공시설물 33.7%, 학교시설 22.8%, 전기통신설비 35.5% 등으로 매우 낮은 수준의 내진보강율을 지니고 있다.

최근 발생빈도와 규모 면에서 높아지고 있는 국내외적인 지진발생 현황을 참고했을 때 국내 지진재해 대비책이 매우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공공건축물 및 학교건축물은 재난 시 대피처의 역할을 하는 특수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시설의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내진보강율을 높여 적극적으로 대비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지진재해에 의한 피해 가능성에 있어서 한국도 예외가 아니란 것을 지난달 16일 새벽 부산에서 발생해 수많은 시민이 감지한 지진이 이를 증명했다. 이날 2,000여 건의 지진 신고 및 문의가 쇄도할 만큼 많은 국민들은 공포감을 느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시킬 정도로 내진대책 방안이 탄탄하지 않다.

우리나라는 1985년 멕시코의 지진피해를 목격한 이후 1988년부터 내진설계를 하도록 건축법에 도입했고, 그 기준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켜 왔다.

지진위험도 재평가 및 성능기반 설계방법 도입을 통해 다양한 구조물 성능평가 방법과 국내 실정에 맞는 설계방법, 내진 보강방법 등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1988년 이전에 지어진 기존 건축물들은 지진발생 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고 장담할 수 없는 실정이다.

▲ 1988년 이전 건립된 건축물들은 지진발생 시 안전성에 취약, 내진보강율 제고가 요구되고 있다.<사진은 건설연구인프라운영원의 RC 공동주택의 지진실험에 의한 내진성능 평가 시험 모습.>

정부는 내진설계 기술의 향상과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2009년에 내진성능 검증을 수행하고 각종 지진, 진동 관련 실험을 수행할 지진방재연구센터를 구축했다.

지진방재연구센터는 국토교통부 사업으로 설립된 건설연구인프라운영원이 운영하는 6개의 실험시설 중 하나로 국내 최대 규모의 진동대 실험시설이다. 총 3기의 진동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1기의 진동대가 2017년에 추가 구축 완료될 예정이다.

국내외 건설 분야의 구조물 내진관련 시험과 각종 비구조 요소의 내진성능 검증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 조선, 철도, 기계 등 산업 전 분야의 진동관련 실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과 원자력 기기에 대한 내진성능 검증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지진관련 구조물 및 각종 기기들의 내진 실험을 다양하게 수행했으며 실지진파, 인공지진파 등을 이용하여 지진관련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최대, 최고의 시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존시설물 내진보강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한 결과 조적조 구조물의 내진보강, 학교시설의 창호시스템의 내진성능 검증,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 등 기술개발에도 매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