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철도안전 정책 역량 강화”
최근 철도 전차선 고정장치 작업중 사망사고ⵈ 원인규명·방지 대책 강구
국토부·철도공사·철도공단 등 국제컨설팅, 철도안전체계 개선방안 마련
인력중심 유지보수 업무, 첨단 검측장비 도입ⵈ 장비 중심 업무 개편
[국토일보 김광년 기자]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이 ‘안전’입니다. 정부는 ‘철도안전혁신방안’을 수립하고 사람 실수로 인한 휴먼에러 등 디테일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한 치 오차 없는 정책 추진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계속되고 있는 장마, 폭염 등 자연재해에 능동적 대응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는 국토교통부 철도안전정책관 정의경 국장을 만나 K-철도 안전을 들어봤다.
- 최근 구로역에서 코레일 직원이 작업 중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향후 조치는.
▲ 지난 9일 새벽 2시 20분경 경부일반선 구로역 구내에서 작업자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을 입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전차선 고정 장치를 교체하는 작업 중에 작업차량의 상부작업대가 인근선로를 운행하는 점검차와 부딪치는, 일어나서는 안될 사고로 보인다. 면밀한 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사고 직원 유족분에게는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
- 올해 철도안전정책 중점 추진 계획은.
▲ 올해는 우리나라의 130년 철도 역사에 있어 많은 성과가 있는 한해다. 안으로는 ‘출퇴근 30분 시대’를 견인할 GTX가 최초로 개통해 그 시작을 알리고, ‘KTX-청룡’이 새로 도입돼 고속철도의 성능과 편의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한편, 밖으로는 우리기술로 만든 고속철이 최초로 해외(우즈베키스탄)에 수출되는 성과를 달성하는 등 우리나라 철도의 역할과 위상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철도안전이 탄탄하게 뒷받침해야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철도안전의 중요성도 함께 커졌다고 볼 수 있다.
올해 철도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철도안전 혁신’이다. 지난해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공동으로 철도안전체계를 객관적인 관점에서 심층진단하고 근본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제컨설팅을 시행한 바 있다.
이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관제집중화·자동화 등을 통해 즉각적인 이례상황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차량·시설의 점검 및 유지보수 업무는 IoT 센서, AI 분석기법 등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는 등 안전업무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업무 전반을 혁신할 계획이다.
우선 구로관제센터(중앙관제) 및 주요역(로컬관제)으로 분산된 관제기능을 제2관제센터 준공 시점까지 중앙으로 집중화하기 위해 ‘관제집중화 로드맵’을 수립하고 AI 등을 활용해 열차 운행계획 조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겠다.
또한 인력중심으로 수행 중인 유지보수 업무에 대해서는 통합검측차 등 첨단 검측장비를 도입(6대, 2028년)해 도보점검을 단계적으로 축소(주 1회→10주 1회)하고 점검빈도는 2배 확대하는 한편, 자갈 다짐·정리 장비, 레일 연마·교환 장비 등 보수장비를 확대(401대→513대, 2028년)해 작업효율을 약 3배 향상시키는 등 장비 중심으로 업무를 개편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차량·시설 등에 설치된 IoT 센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분석 등을 통해 최적 점검·유지보수 시점, 주기를 도출하는 상태기반(Condition Based Maintenance) 유지보수체계로 전환할 예정이다.
- 탈선 등 안전사고 근절 대책이 궁금하다.
▲ 지난 4월 서울역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예정된 정차위치에 정차하지 못하고 승객을 태우고 출발을 대기하고 있는 KTX열차와 추돌 후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정확한 사고원인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철도경찰 등이 다각도로 조사하고 있으나 우선 유사한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지난 6월 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해 시행중에 있다.
먼저 서울역은 승강장에 열차가 정차해 있는 경우, 후속열차가 진입하지 않도록 신호운영(유도신호)을 개선하고 그 밖의 역에도 이례상황 외에는 유도신호 사용을 최소화했으며 이례상황으로 인해 유도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승강장 진입 전 일단 정지(자동운전) 후, 진입(수동운전)하도록 신호 S/W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인적오류 요소를 촘촘히 관리하기 위해 기관사가 열차 운행 시, 인터넷 등 휴대폰 일부 기능을 자동차단하는 앱을 개발·사용하는 방안, 기관사가 일정시간 무반응 시 열차를 비상제동시키는 일반열차의 운전자 경계장치도 KTX 수준으로 강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에 있다.
- 철도시설 지진 대응체계는.
▲ 지난 6월,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4.8리히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도 철도는 지진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없어 피해는 없었지만 지진대응체계를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철도는 장대교량, 역사 등 전국 철도시설물(101개소)에 설치된 지진계측 장비를 활용해 지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있으며 일정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 측정되면 즉시 경보를 발령해 주의·서행운전 등 열차운행을 통제하고 시설물 점검을 완료한 다음 정상적으로 운행하게 된다.
또한 철도 교량, 터널 등 철도시설물은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내진성능에 대해 평가하고 성능이 부족한 경우 시설물을 보강하고 있다. 현재 철도시설물의 96.3%(5,662개소 중 5,454개소)가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 묻지마 범죄 등 철도범죄 예방 대책은 무엇인가.
▲ 지난해 수인분당선 열차 안에서 승객이 흉기를 휘둘러 다른 승객을 다치게 하는 흉기난동 사건이 있었다. 이렇게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묻지마 범죄 등 강력범죄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국토부는 국민께서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범죄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
철도범죄 발생 시, 신속하게 용의자를 검거할 수 있도록 용의자의 옷차림, 신체 특징 등을 스스로 식별해 추적하는 AI CCTV를 전국에 2027년까지 4,050대로 확대해 철도치안 활동을 고도화하는 한편, 폭행으로 인해 열차 운행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처벌을 강화(기존 2년 이하 또는 500만 원 이하 벌금)하는 철도안전법을 올해 3월 개정했다.
- 철도안전 관련 산업계에 보내는 메시지.
▲ 올해는 우리기술로 제작된 고속철이 최초로 우즈베키스탄에 수출된 역사적인 한해다. 국토부는 이러한 수출 성과를 발판삼아 추가적인 해외수주를 달성하는 등 철도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우선 국내 철도차량의 시험방법 등 주요 요구조건으로 활용되는 산업표준(KS)이 국제표준(ISO, IEC)에 부합하도록 KS 제정연구를 지속해 오는 2030년까지 60%(100종 이상) 부합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한편, 우리나라 주도로 ‘철도용 무선전력전송(WPT) 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추진하는 등 우수한 K-철도 기술의 주도권 확보 및 국내기업의 해외 경쟁력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철도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제2관제센터, 철도종합시험선로 등 철도 핵심인프라를 집약하는 등 철도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철도산업 클러스터’를 충청북도 오송에 조성(2030년)해 철도산업이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해외의 기술은 국산화하고 국내 기술은 더욱 고도화하기 위한 R&D는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노후디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한 수소전기기관차 기술개발 R&D를 새로 추진하는 등 13건의 R&D에 대해 국비 590억원을 투자했다.
향후에는 수소철도차량 등 탄소중립 철도 기술개발, 1,200km급 하이퍼튜브 핵심 기술개발, AI·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철도안전 기술개발 등 글로벌 철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R&D 아이템을 발굴하고 현실화하기 위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정리=김현재 기자 khj@ikl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