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26년까지 ‘철도 무선급전기술 국제표준’ 제정 추진
국토부, 2026년까지 ‘철도 무선급전기술 국제표준’ 제정 추진
  • 김현재 기자
  • 승인 2023.05.09 08: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20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한 경전철용 무선급전시스템 모습.(사진제공 : 국토부)
지난 2020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한 경전철용 무선급전시스템 모습.(사진제공 : 국토부)

[국토일보 김현재 기자] 2026년까지 철도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대해 국제표준 제정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과 2026년까지 철도 무선급전기술 국제표준 제정을 추진한다고 어제(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늘(9일)부터 10일까지 이틀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제회의실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철도 무선급전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국제표준화 작업그룹 착수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철도 무선급전시스템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 관련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작업그룹(IEC/TC9/PT63495)이 공식 착수되는 것이다.

국토부는 철도분야에서는 최초로 우리나라가 제안한 기술로 국제표준 제정 작업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작업그룹은 우리나라(국토부·철기연·과기원)가 2018년 12월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이 임시작업그룹(AHG) 논의를 거쳐 지난 3월 정식작업그룹(PT)으로 승인되면서 열리는 첫 회의로 2026년까지 제정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철도시스템은 가선을 통해서만 전력공급이 이뤄지는 전차선 급전 방식이었지만 무선 급전(Wireless power transfer) 방식은 철도차량이 주행 또는 정차 중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 주는 기술이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려는 무선급전시스템은 전차선 급전에 비해 감전 사고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전차선 접촉에 의한 분진과 소음이 없어 도심환경이 개선되는 등 괄목할 만한 장점을 갖고 있다.

가선 방식에 비해 전차선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터널 단면적 감소로 인한 공사비 절감, 역사 위치 선정에 있어서의 제약사항 완화, 전차선으로 인한 도심공간 분리 최소화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 프랑스, 일본 등 주요국들도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철도 주행 중 무선급전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을 위한 핵심장치인 코일의 형식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며 한국은 타원형 코일방식을 제안할 계획이다.

한국이 제안하는 타원형 코일방식으로 무선급전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개발한 원형 코일방식보다 비용을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다.

국토부는 향후 무선급전시스템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면 무선급전시스템에 대한 철도 차량과 시설 간의 상호호환성을 확보하고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환경이 조성되는 등 철도무선급전 기술 상용화의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채교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국제표준 제정 추진을 통해 우리나라가 철도 무선급전기술을 선도하고 해외시장 선점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에도 우리나라가 개발한 우수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