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철도역사 수준평가’ 실시
교통안전공단, ‘철도역사 수준평가’ 실시
  • 김현재 기자
  • 승인 2023.03.21 1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대사고 예방 위한 시설개선 이행실태 점검강화
한국교통안전공단 직원이 승강장과 전동차와의 간격ㆍ단차 적정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 :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직원이 승강장과 전동차와의 간격ㆍ단차 적정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토일보 김현재 기자]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한국철도공사 등 4개 기관 130개역을 대상으로 오는 29일부터 ‘2023년 철도역사 안전 및 이용편의 수준평가’를 실시한다.

철도역사평가는 고속·일반·광역·도시철도 역사 중 노후역사를 대상으로 이용객 관점에서 안전 저해요인을 제거하고 이용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가하는 제도로 2020년부터 공단이 위탁 수행하고 있다.

우선 철도역사의 안전성(구조적 안전성, 안전시설)과 이용편의성(이동 편의성, 혼잡성, 쾌적성)을 평가해 등급을 산정한다.

결과에 따라 법령 위반사항 또는 안전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개선명령 등의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는 한국철도공사 등 7개 기관의 135개역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했으며 그 결과 총 58건의 지적사항을 개선하도록 요구했다.

주요 지적사항으로는 역사 내 넘어짐과 혼잡으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해 바닥면 미끄럼저항 기준 미달, 폭 5m이상 계단의 분리난간 미설치, 계단 미끄럼 방지용 논슬립 미설치, 추락 우려개소 난간 높이 기준 미달, 에스컬레이터 진입차단봉 설치 유무 등이 있었다.

비상 시 이용객들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화장실·승강장 내 비상통화장치 설치 등의 조치를 요구했다.

또 계단 시인성 확보를 위한 계단코 특수색깔이 미처리됐거나 역 출입구에 단차가 있는 곳, 경사로에 손잡이가 미설치된 곳,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바닥선 색상이 구분하기 어려운 곳 등은 교통약자의 접근성 확보 및 편의를 위해 시설 개선을 요청했다.

올해는 한국철도공사 등 4개 기관 130개역의 수준을 평가하고 기존에 지적된 시설개선사항에 대한 이행여부 점검을 시행해 적합여부에 따라 재시정을 요구하는 등의 후속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대형 사고예방을 위한 중점항목 점검시행 및 역사 혼잡도 협의체 운영을 통해 철도역사 내 사고 예방을 강화할 예정이다.

권용복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철도역사평가는 역사 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로 철도를 이용하는 모든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역사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면밀한 평가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