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일보 조성구 기자] 새 정부 출범 이후 산업부와 관련 기관 등에서 해외로 유출된 원자력 관련 우수 인재들을 한국으로 소환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한다. 건설·부동산 관련 A 언론사의 편집국장이 최근 에너지 분야 지인과의 모임에서 들은 얘기다.
尹 대통령이 UAE 방문 일정을 마치고 원전 협력 협약(MOU) 보따리를 한 움쿰 가지고 온 상황에서, 이 같은 소식이 사실이라면 원전 업계에서 반길만 한 청신호다.
사실 우리는 지난 2009년 수주에 성공한 UAE 바라카 원전 사업 이후에도 해외 원전 프로젝트 수주를 달성할 기회가 있었다. 2017~2018년 영국이 추진했던 무어사이드 원전 프로젝트다.
당시 한국전력은 우선 협상대상자 지위까지 확보했다. 하지만 영국 정부는 원전 건설 자금 전액을 한전이 마련하고, 이후 운영권을 확보해 투입 자금을 직접 회수하라는 조건을 내 걸었다.
통상적인 방식인 발주처가 자금을 대고 사업자가 건설, 운영하는 방식이 아니었다. 수익성을 우려한 한전의 최종 사업 수주는 불발됐고, 현지 발주처는 중국 국영 원전기업과 협상을 이어갔다.
이후 중국과도 최종 사업이 무산되긴 했지만, 그 때 상황을 두고 원전업계에서는 당시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가 영향을 미친 것이란 견해도 있었다. 당시 정부의 정책이 탈원전인데 '해외 원전 사업을 제대로 할 수 있겠냐'는 영국의 '몽니'였단 후문도 나왔다.
사업 성사를 지휘했던 조환익 前 한전 사장(現 유니슨 대표이사)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당시의 상황을 "우선 사업자로 선정이 됐지만 탈원전 분위기에서 사실상 추가 동력을 얻기는 불가능 했다"고 회고했다.
정부가 다시 원전 수출에 나서고 있다. 대통령은 세일즈 외교를 통해 한·UAE 간 원전 관련 협력 강화를 위해 제3국 원전 수출시장 공동 개척 등 다양한 MOU를 체결했다. 자신이 '제 1순위 세일즈맨'이라고 평하며 중동을 누볐다.
국제적 환경도 나쁘지 않다. 영국은 최근 탈원전 정책에서 탈피해 신규 원전 건설을 담당하는 영국원자력청(GBN)을 설립하기로 했다.
이에 정승일 한전 사장은 오늘(30일) 영국으로 날아가 현지 원자력계 인사들을 만나 신규 원전 사업과 무어사이드 원전 사업 관련 논의를 한다고 한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한전과 협약을 맺은 UAE 원자력공사가 공동 합작사를 세우고, 바라카 원전을 추진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단 전언이다.
지난 文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두고 여·야의 입장 차는 극명하다. 같은 사안을 두고 이와 같이 완전하게 반대되는 견해가 나오는 사안을 찾기도 쉽지 않다.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정치인들은 그들의 리그에서 자신만의 정치를 한다지만, 문제는 에너지 업계에 미치는 후폭풍에 대해서는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과(功過)에는 견해가 갈리겠지만, 지난 정부에서 원전 산업을 등한 시 한 것은 분명 사실이다. 탈원전 시기 국내 원전 관련 산업 및 부품 장비 기업 중 절반은 연간 수주가 '제로(0)'였다는 사례 조사도 나온다.
산업부도 신한울 3·4호기 조기 발주, 원전 협력사 안정 자금 지원 등으로 업계의 숨통을 트일 계획을 세우고 있고 대통령과 공공기관 CEO 들도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망가진 원전 생태계가 회복되려면 시간이 걸리겠지만, 산업을 살려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피아(彼我)가 있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