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일보 현장 25時] 스마트 건설안전, 수요자 중심에서 접근해야
[국토일보 현장 25時] 스마트 건설안전, 수요자 중심에서 접근해야
  • 국토일보
  • 승인 2022.10.11 1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명기 국토일보 안전전문기자 / 공학박사 / 안전기술사 / 안전지도사

건설사고 예방 근원적 해결책은 ‘건설자동화와 로봇화’ 뿐
중소기업 맞는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 도입 방안 강구해야

최 명 기 기술사
최 명 기 기술사

최근 들어 스마트 건설안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다. 국토교통부나 고용노동부를 비롯해 발주처인 공공기관과 대기업, 안전 전문가들은 스마트 안전을 맹신하면서 우상화하고 있다.

현재의 상황을 진단해보면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면 그동안 계속해서 발생하던 건설현장의 사고를 단시간에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는 환상 속에 빠져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무래도 기존에 적용하였던 안전점검 등과 같은 사고 감소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다 보니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안전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히 알아야 할 사실이 하나 있다.

스마트 건설안전은 사고를 감소시키는 노력의 일환이지 근원적으로 사고를 예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다. 사고를 예방하는 근원적인 대책은 오직 작업자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뿐이다.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오직 건설자동화나 로봇 활용과 같은 스마트 건설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스마트 건설안전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안전모나 안전벨트와 같은 개인 보호구와 같은 운명을 가지고 있다. 개인보호구처럼 작업자들이 착용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쓸모없는 도구로 전락하는 것처럼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이나 장비들도 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으면 그저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이다.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을 도입하면 사고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는 맹신적인 인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은 단지 사고를 감소시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하나의 수단과 방법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동안 굴착공사나 터널공사 현장에서 센서 등을 활용한 자동화 계측관리를 실시해 왔었다. 사실 계측관리는 스마트 안전 기술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계측관리는 그 적용대상이 지반이나 구조물이었지만 스마트 건설안전은 적용대상이 단지 사람에 적용하였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안전을 위해 계측관리를 실시했지만 흙막이나 터널공사 중에 붕괴사고가 많이 발생했었다. 이론상으로는 사고를 방지할 것 같지만 현실에서는 적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측면이 적지 않았다.

흙막이 공사나 터널공사의 계측관리는 일정한 장소에서 고정적인 상태로 적용됐다.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짧은 시간이 아닌 어느 정도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적용돼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대형사고가 발생됐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은 계측관리와는 다르게 시간적, 장소적으로 계속해서 변화하는 작업장소와 작업공정에 적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적용에 철저를 기하지 못하면 아무리 완벽한 스마트 안전 기술을 도입했다고 해도 사고는 여전히 발생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사실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시시각각 수시로 변화하는 작업장소와 작업공종에 맞춰 적용돼야만 본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대기업의 경우에는 그마나 스마트 안전기술을 관리하는 인력을 투입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지만 건설현장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는 여건이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그런 이유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중소규모 현장에서는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 적용과 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 도입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누군가는 그 일에 전담해야 하는데 중소규모 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의 도입 방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정부와 대기업, 공공기관이 중심이 돼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을 도입했다면 이제는 중소기업 위주의 수요자 중심으로 도입이 전환될 필요가 있다.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특성에 맞는 실질적인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 도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관리자, 공급자 측면에서의 접근보다는 소규모, 작업자, 수요자 입장에서 문제점을 바라보고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스마트 건설안전은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감소하기 위한 정답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처럼 너무 맹신해서도 처벌을 회피하기 위해 흉내 내기 식의 보여주기 위한 쇼를 해서도 안 된다.

건설현장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직 건설자동화와 같은 스마트 건설만이 정답이다. 건설현장에서 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데 스마트 건설 시장이 무대에 주인공으로 등장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10년 이상은 걸릴 것이다. 스마트 건설 시장이 아직은 숙성되지 않았기에 그때까지 사고 감소를 위해 임시방편적으로 수행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을 활용할 뿐이라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