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표준화 현실로"… 공간빅데이터, 표준모델로 쉽고 간편하게
"데이터표준화 현실로"… 공간빅데이터, 표준모델로 쉽고 간편하게
  • 김준현 기자
  • 승인 2022.01.07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공공정책 업무 활용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개방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공간빅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활용하는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이 개발됐다. 표준분석 모델은 분석모델이 단발성으로 끝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지속·확산 활용 가능 공간정보 기반 분석 모델이다.

7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12월 31일부터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을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정책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과 분석절차 등을 표준화한 모델이다.

유사업무를 수행할 때 표준화 모델을 적용하면 원하는 분석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어 비용절감은 물론, 데이터 기반 과학적 의사 결정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로 ‘보육 취약지역 분석’ 표준분석모델의 경우 서울시를 대상으로 개발했으나 데이터 형식에 맞춰 경기도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경기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업무인 도서관 취약지역도 분석할 수 있다. 또 코로나198 선별진료소 부족지역 분석 등에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공간정보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표준분석모델을 매년 개발해왔다.

2021년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개발 성과.
2021년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개발 성과.

올해에는 버스정류장 사각지역 분석, 화재취약지역 분석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교통, 생활, 안전 등 공공 행정·정책 업무에 활용도가 높은 5종을 개발했다. 5종은 ▲버스정류장 사각지역 분석 ▲스마트 버스정류장 설치 입지 분석 ▲화재 취약지역 분석 ▲보육취약지역 분석 ▲쓰레기 무단투기 상습·다발지역 분석 등이다.

서울시 등이 실제 업무에 활용 중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기관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으며, 각 지역의 현안 해결과 정책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구현했다.

올해 개발한 표준분석모델의 대표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버스정류장 사각지역 및 버스 노선 분석은 버스정류장 위치, 지역 총인구 데이터 등을 결합해 이용객 수요에 비해 버스정류장이나 버스 노선 부족 지역은 분석한 모델이다. 대중교통 정책 수립, 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서울시 동작구의 ‘화재 취약 지역 분석’은 화재발생, 소방서 위치, 도로정보 데이터 등을 이용해 골든타임 내 화재 대응이 어려운 지역을 분석한 모델이다. 소방안전시설 추가 및 화재예방센터 설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강주엽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공간빅데이터 분석·활용 기술은 합리적인 정책·의사 결정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4차산업 혁명시대의 필수 불가결한 기술이다”며 “앞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준분석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활용함으로써, 공간정보 산업 육성뿐만 아니라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표준분석모델은 분석속도와 기능이 고도화된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www.geobigdata.go.kr)’을 이용해 개발했으며, 누구나 쉽게 인터넷으로 열람·활용할 수 있다. 플랫폼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공간정보 분석과 개발이 가능하며, 분석요청 및 활용교육 신청 등의 서비스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