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시스템(GIS), 역사적 행정구역 경계 복원하다
지리정보시스템(GIS), 역사적 행정구역 경계 복원하다
  • 김준현 기자
  • 승인 2021.12.23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완료
2022년 서비스 실시… 향후 데이터 구축 확대 예정
이미지 제공=국사편찬위원회.
이미지 제공=국사편찬위원회.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김인걸)는 2021년 ‘역사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2022년 1월부터 서비스를 실시한다.

‘역사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한국의 역사적 행정구역의 데이터베이스이자 각 역사적 행정구역의 경계를 복원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이다.

역사적 대상을 지리정보와 결합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역사 연구를 심화하고 확장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역사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는 1910년 5월 10일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와 1975년 10월 1일의 두 시기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구축해 서비스한다.

첫 번째 시기는 1910년 5월 10일 기준으로 작성된 ‘민적통계표(民籍統計表)’의 행정구역을 시작으로, 행정구역 변동과 관련된 법령 정보를 근거로 변경 내역을 추적하여 데이터를 구축했다.

두 번째 시기는 1975년 인구 센서스(국세조사) 자료의 행정구역명을 기준으로 전국의 도/특별시/직할시, 시군, 읍면 단위까지를 포괄하는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수복지구와 휴전선 인접 지역 등 인구 센서스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행정구역명은 관련 법령, 지도 등을 참고해 복원했다.

복원된 행정구역 데이터들은 연속 시계열 데이터로 구축하여 변천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현했다.

면 단위 이상의 정보는 폴리곤(Polygon) 형태로, 동리(洞里) 단위 및 행정관청의 정보는 포인트(Point) 형태로 구축해 서비스하며, 개방 데이터셋을 공개할 예정이다.

데이터 구축 과정에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디지털역사지리연구팀이 참여해 행정구역 정보와 레이어 복원 및 검수를 수행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향후 ‘역사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2022년 경상남·북도를 시작으로 북한지역까지 공간적 범위를 넓히는 한편, 1910년 이전 조선·대한제국 시기까지 시간적 범위를 확대해 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김인걸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역사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역사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 새로운 역사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