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화가 필요하다
[기고]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화가 필요하다
  • 국토일보
  • 승인 2021.09.0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승택 한국국토정보공사(LX) 서울지역본부장

지난해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글로벌 경제선도를 위해 강력하게 추진한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트윈’이 선정됐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물리적 대상을 디지털화하여 가상공간에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예측하는 플랫폼을 말한다.

현실세계의 당면한 위험과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고효율과 저비용의 혁신을 만들어내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트윈국토는 안전, 환경, 복지, 경제, 에너지 등 국가정책 전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시기에 정확한 정책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국토와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를 비롯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는 디지털 트윈국토 관련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국토의 경우 다른 분야와 달리 특정 지역이나 기업이 지엽적으로 구축하는 것보다 플랫폼 및 데이터 연계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기반정보 및 공통 활용 데이터의 구축과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전국 단위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책지원을 확대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국토 정책과 사업추진, 그리고 활용범위에 대한 논의는 점차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주체, 활용 목적 그리고 보유 기술에 따라 디지털 트윈국토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하고 명확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또한 트윈국토 플랫폼 및 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에 대한 고려가 아직까지 부족하여 디지털 트윈 간 연계를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트윈국토에서 다양한 기술과 데이터 연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표준화 활동이 확대되어야 한다. 특히 분석과 시뮬레이션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는 생산·구축과 취합·연계 단계에서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확보를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이해관계자간 개념적 일관성과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 제정, 그리고 디지털 트윈국토의 완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국토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LX)에서는 2017년부터 공간정보표준 개발 및 지원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표준 서비스 이용을 더 편리하게 하고, 기관 간 교류와 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최근에는 디지털 트윈국토의 공통 개념과 시스템 및 기술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디지털 트윈국토 참조모델 및 건물데이터 표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표준이든 지켜지지 않으면, 그 효용가치를 제대로 누릴 수 없다. 디지털 트윈국토의 상호운용성 확보 및 국가차원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서는 공간정보표준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과 기업 등 디지털 트윈국토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이들의 노력이 ‘또 하나의 대한민국’을 세계무대에 진출시키는 결실로 맺어지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