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산림정비와 목재이용 확충 통한 탄소중립 달성
[전문가 기고]산림정비와 목재이용 확충 통한 탄소중립 달성
  • 선병규 기자
  • 승인 2021.08.30 0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과 목재 그 자체가 탄소흡수(CCS)와 탄소저장 활용(CCUS) 기능

(사)한국합판보드협회 정하현 상임이사

전 세계 곳곳에서 대규모 산불과 홍수 등의 기상이변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8월 9일에 발표된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6차 보고서에는 2040년 이전에 지구의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해 폭염과 폭우와 같은 극한 현상이 빈발할 것이며 온실가스 감축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에 맞춰 정부는 2050년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중립 정책의 컨트롤 타워를 담당할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5월 29일에 출범했으며, 국회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대비 35%이상 감축하는 탄소중립기본법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대해 산업계는 급속한 탄소감축정책으로 인한 산업위축과 대량실직 등 현실적인 사회적 위기를 우려하고 있다.

한편, 최근 CCS(Carbon Capture&Storage/탄소포집·저장)와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탄소포집·활용 및 저장)의 기술개발이 부상하고 있다.

CCS는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모으는 기술이지만 산림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나무의 형태로 탄소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 적절한 산림육성을 통해 CCS의 확충이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면적의 63%의 산림을 보유하고 있다.

산림은 유일한 탄소흡수원으로 ’70년대와 ’80년대에 조림한 나무가 성숙해 2050년이 되면 탄소흡수기능이 정점에 달한다고 한다.

당시에는 산림복구를 위해 척박한 산지에서도 자랄 수 있는 아카시아, 오리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을 심었지만 산림이 비옥해진 현재는 유럽이나 일본 등의 선진임업국과 같이 오랫동안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수종으로 전환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빈약한 임업기반시설을 확충해 임업을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시켜야 한다. 임업기반시설 등의 산림정비는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대형 산불이나 산사태, 병충해 등의 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CCUS는 이산화탄소를 모으는 기술에 ‘활용’이라는 기술을 더한 것으로 목재이용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목재는 탄소고정 기능뿐만 아니라 철강이나 플라스틱 등과 화석연료를 대체해 지구온난화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예로, 제조과정에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철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무를 이용한 구조물로 전환한다면 탄소저장효과(CCUS)를 통해 이산화탄소배출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목조주택 보급률은 5%미만으로 50%이상인 일본에 비해 매우 낮다.

캐나다와 프랑스, 일본 등에서는 오래 전부터 저탄소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학교나 관공서 공공건축물에 대한 목재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민간 및 고층 건축물로까지 확대해 나가고 있다.

앞으로 2050년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산림정비를 통한 탄소흡수기능 확충과 목재를 활용한 장기 우량주택의 보급, 도시지역 고층 건축물의 목조화나 내장(內裝) 목질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