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공사업' 전문건설 업역 신설 필요하다
'해체공사업' 전문건설 업역 신설 필요하다
  • 김광년 기자
  • 승인 2021.05.07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재열 교수팀, '해체공사 전문성 강화 위한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고
최근 7년간 해체공사 과정서 31명 사망 '속수무책'
영국·일본, '해체기사' 자격자 양성 등 제도적 지원
건설산업 재해 중 해체공사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율이 5%에 달하고 있어 해체공사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국내 해체공사 전문기업인 코리아카코가 필리핀에서 수행한 Calabarzon Express Way의 Sabang Bridge 철골교량 폭파해체 모습.
건설산업 재해 중 해체공사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율이 5%에 달하고 있어 해체공사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국내 해체공사 전문기업인 코리아카코가 필리핀에서 수행한 Calabarzon Express Way의 Sabang Bridge 철골교량 폭파해체 모습.

[국토일보 김광년 기자] 건설산업 전체 재해율 중 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해체공사 과정에서의 안전사고에 대해 전문성 강화 등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단국대학교 전재열 교수가 분석한 ‘해체공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7년 간 구조물 해체공사 중 재해현황을 보면 총 33건이 발생, 31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준공 30년 이상 된 건축물이 전국에 267만여동에 달해 노후화된 구조물의 리모델링 등 해체공사 물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부 차원의 해체공사업 신설 등 제도권에서 관련시장에 대한 전문업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영국의 경우 대학교에서 해체 핵심기술 및 교육 내용, 자격사항 등 해체전문가 양성을 위해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로, 관련 협회에서 ‘해체기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스웨덴, 홍콩,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친환경 해체산업의 정착 및 발전에 대해 제도적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더욱이 일본의 경우에는 구조물 해체가 급증, 자연스럽게 해체공사의 안전성 및 환경성 문제가 대두되고 결국 45년 유지해 온 전문건설업종을 개편해 2016년 ‘해체공사업’을 신설했다.

특히 일본은 1994년부터 ‘해체시공기사’ 자격시험을 실시, 현재 2만여명에 이르는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해체공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A모 대표는 “해체공사도 건설산업의 일부입니다. 압축성장기에 대량 공급된 건축을 포함한 각종 구조물들이 지은 지 40년이 넘은 대상이 산적해 있어 이에 대한 해체대책이 제도적으로 체계화돼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결국 국내시장도 해체공사 물량 폭증과 더불어 건설안전 사고방지 사전차단을 위해 일본, 영국 등 주요 선진사례를 밴치마킹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 관계전문가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