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역세권 개발 여건 분석 방법론 제시
국토연구원, 역세권 개발 여건 분석 방법론 제시
  • 김준현 기자
  • 승인 2021.01.26 1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간정보시스템 활용 역세권 개발 여건 분석'서 제안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박 대한 연구원은 워킹페이퍼 ‘공간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역세권의 개발 여건 분석’에서 역세권의 여건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또 대전역(고속철도역) 역세권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해 대전광역시의 행정구역(79개 읍·면·동)과 비교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역세권이라는 임의로 설정된 구역이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도시계획적 현황 분석이 어려운 것에 착안하여 추진했고, 역세권의 여건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로 도로율(%), 실현용적률(%), 인구밀도(인/), 인구대비 사업체 비율(%), 인구대비 종사자 비율(%), 노후건축물 비율(%), 공시지가(원) 등을 제시했다.

이러한 지표로 살펴본 대전역 역세권은 물리적 쇠퇴가 심각함에도 기반시설 정비가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업지역이 집중됨에도 저밀도의 토지이용으로 도시밀도 관리 측면의 이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역 역세권은 과거부터 높은 수준의 사업체 및 종사자 비율을 보이고 있고, 대전역 배후주거지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예상되어 경제적 측면에서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박대한 연구원은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지표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역세권 개발사업 추진의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언급하면서 향후 여러 역세권간 비교·분석을 통해 사업 추진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 연구를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도시철도, 일반철도, 고속철도 등 철도역의 기능, 규모 등에 따라 역세권의 영향 범위가 다르고, 보통 철도역 출입구가 다수로 존재해 기준점을 정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연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철도역마다 다양한 여건을 반영한 역세권의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