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하수도사업에 녹색인프라 기술 도입
서울시, 공공하수도사업에 녹색인프라 기술 도입
  • 선병규 기자
  • 승인 2020.03.12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빗물의 직접유출을 낮추고 시민친화적인 녹색설계 시행키로

[국토일보 선병규 기자] 서울시는 도시화로 악화된 자연 물순환 기능을 회복하고 도시열섬 완화 등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시는 이를위해 올해부터 공공하수도사업에 ‘녹색 인프라 기술’을 도입해 빗물의 직접유출을 낮추고 시민친화적인 녹색설계를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기존 도시의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등으로 덮인 회색 기반시설(Gray Infra)에 자연 순환기능을 가진 녹색 인프라 기술을 적용해 도시 물순환 회복과 쾌적성을 높이는 새로운 사업방식이다.

녹색 인프라 구축사업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Gray Infra)에 식생·토양으로 이뤄진 빗물흡수 시설(녹색 Infra)을 융합 설치한다.

도시의 자연물순환 회복뿐 아니라 빗물 유출을 줄이고 하수도공간 효율성에 효과가 있어 방재시설 확대 설치 등 사업비 측면에서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서울시는 도시화로 인한 생태면적 감소와 불투수면 증가로 표면유출량(지표면을 흐르는 빗물량)이 41% 증가되는 등 물순환이 악화됐다.

이는 도심열섬현상 심화, 도시형 홍수와 가뭄, 극한 혹서 등 이상기후현상이 나타나 시민들의 삶에 직·간접적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시에서는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악화된 자연 물순환을 회복하고자 2005년 전국 최초로 ‘서울시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개발 기본 조례’를 제정하고, 저영향개발(LID, Low-Impact Development) 사전협의제도 시행 등 누구보다 선도적이며 적극적으로 관련 사업들을 추진해왔다.

20년에도 6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울시 물순환 회복 기본계획 수립’, 빗물마을 5개소 신규 조성, 빗물관리시설 확충 등의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물순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5회 물순환시민문화제, 물순환 스타트업 공모전 등의 시민참여 행사도 개최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기존 사업에서 한발 더 나아가 도시화가 심화된 서울의 도시특성을 고려해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예정이다.

우선적으로 공공하수도사업부터 녹색 인프라 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토지이용별 빗물관리를 위해 정해진 빗물분담량(관리목표량)을 적용해 사업시 빗물분담량 기준을 만족하는 녹색 인프라 시설을 설치토록 했다. 물순환시민위원회 기술자문도 받도록 맞춤형 관리체계도 함께 구축한다.

서울시에서는 매년 약 200㎞의 노후·불량 하수관을 정비하고 있다.

이 중 50% 정도는 도로 굴착 및 포장을 수반해 공사를 시행하고 있어 효율적으로 녹색 인프라 설치가 가능하다.

녹색 인프라 융합설치는 도시열섬현상 완화 등 물순환 회복의 효과 뿐 아니라 하수도에 대한 시민인식 개선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이후로도 물순환회복 기본계획을 재수립하는 등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하고, 도로·공원·공공건축물 등 사회기반시설 관리부서와도 적극 협력해 도시 모든 곳에 녹색 인프라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민들과 각 사업을 담당하는 직원들이 저영향개발 기법 등과 같은 녹색인프라 기술 적용에 공감하고 동참할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서울시 이정화 물순환안전국장은 “그동안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 기본 조례’를 제정하는 등 누구보다 선도적으로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해 왔다”며 “앞으로도 서울시가 가진 도시특성에 맞는 물순환 회복 정책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