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 도시재생 거점시설 역할 위한 생활SOC 복합화 방안 제시
국토연, 도시재생 거점시설 역할 위한 생활SOC 복합화 방안 제시
  • 김준현 기자
  • 승인 2020.02.05 2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설별 국가적 최저기준을 적용한 접근성 분석
복합시설 입지 도출 과정.
복합시설 입지 도출 과정.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시설별 국가적 최저기준 접근성 개념을 활용한 생활SOC 복합화 방안이 제시됐다.

최는 정부는 국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2018년 8월 생활밀착형 생활SOC확충방안을 발표하고, 생활SOC 복합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기존 1개과 1개 시설을 공급하는 부처별 칸막이식 공급체계를 탈피해, 국민들이 체감가능한 생활SOC 투자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협력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이에 생활SOC 사업선정을 위한 ‘생활SOC 복합화 사업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2019.6)’을 발표·추진 중이나, 사업추진을 위한 객관적인 공간분석 및 지역 수요 맞는 시설 도출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미약해 광역 및 기초지자체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대두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김유란 연구원은 워킹페이퍼 ‘도시재생 거점시설 역할을 위한 생활SOC 복합화 방안 연구’에서 그간 생활SOC 복합화 사업의 추진경과와 기초생활인프라 시설별 국가적 최저기준을 활용한 접근성 분석을 통해 생활SOC 사업의 시설선정 및 도출과정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광역 및 기초지자체의 역할을 제안했다.

도시재생 거점시설로서 생활SOC 복합화가 중요한 이유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생활SOC복합화 사업’이 도시재생뉴딜을 통한 ‘기초생활인프라 확충’과 연계 추진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접근성 공간분석과 시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주민들의 거점시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현재 ‘국가도시재생 기본방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생활인프라 16개의 마을단위 세부시설에 대해서는 시간기준으로 국가적 최저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각 광역지자체 별로 200m*200m 기초생활인프라 접근성 분석 결과가 배포(18년 12월 배포)되어 있어 지역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현재 생활 SOC 복합화 과정은 지역 내 유사시설에 대한 검토와 시설의 필요성, 사업 집행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으나, 시설별 시민들의 접근성 수준에 대한 파악은 어렵다. 이에 기초생활인프라 접근성 개념을 활용해 생활SOC 복합화 과정을 7개 단계로 제시했다.

김유란 연구원은 주민들의 체감가능한 생활SOC 복합화 사업 추진을 위하여 주민수요에 기반한 접근성 분석을 통해 시설별 취약지역을 도출하고, 추진과정에 따른 중앙정부/광역/기초지자체의 주체별 역할 제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정부는 통합적 생활SOC 사업 추진을 위해 부처별 칸막이식 행정을 탈피하고 단기사업이 아닌, 장기적인 지속적 사업으로 부처별 협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광역시는 ‘생활SOC 종합계획 수립 및 가이드라인’을 수립을 통한 종합 검토·결정,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또한 유사시설 중복을 위한 위치 조정 및 관리해야 한다.

광역단위의 종합계획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는, 행정구역의 문제로 인근 기초자치단체에 유사 중복시설이 위치할 경우, 광역 차원에서 조정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는 객관적이며 종합적인 도시 단위의 분석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사업의 시행주체로서 접근성 분석을 통한 서비스 취약지역을 분석. 시민의 수요 및 지역에 맞는 생활SOC 복합 사업을 제시해야 한다.

김유란 연구원은 도시재생 거점시설 역할을 위한 생활SOC 복합화를 위해, ▲중앙정부의 지속적 부처협업을 위한 체계 구축 ▲광역지자체의 생활SOC 종합계획 및 가이드라인 수립 ▲복합시설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광역차원의 사회적 경제 및 협동조합 등 지역 일자리와 연계체계 구축 ▲주민수요를 고려한 시설선정 및 운영관리 방안 마련 등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