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자연공원구역, 토지활용도 높아져… 생활SOC 시설 등 구축
도시자연공원구역, 토지활용도 높아져… 생활SOC 시설 등 구축
  • 김준현 기자
  • 승인 2020.01.15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공원녹지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도시공원의 소규모 도서관 사례.
도시공원의 소규모 도서관 사례.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도시자연공원구역 행위제한이 완화되고 매수청구도 쉬워지게 된다. 미집행 도시공원 국공유지 실효유예를 위한 기준도 마련되고, 어린이공원 내 도서관 설치, 어린이집 증개축 허용 등 규제도 완화된다.

15일 국토교통부는 ‘장기미집행공원 해소방안’(`19.5.28)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동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20.1.16~`20.2.24)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규제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도시자연공원구역 토지소유자의 부담을 완화하고, 미집행공원 국공유지 실효유예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우선 도시자연공원구역에서 설치할 수 있는 건축․시설물과 시행할 수 있는 사업을 확대해 해당 구역 내 토지소유자의 불편을 완화한다.

도시자연공원구역에서도 ‘개발제한구역법’과 동일하게 주차장, 실내 생활 체육시설, 실내체육관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생활 SOC(도서관, 보건소․보건진료소), 수목장림, 노인복지시설도 허용함으로써 도시자연공원구역의 토지 활용도를 높였다.

도시자연공원구역은 공원 일몰제로 실효되는 공원부지의 난개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05년 도입된 용도구역으로, 도시지역 안에서 식생이 양호한 산지에 지자체장(시․도지사 또는 인구 50만명 이상의 대도시시장)이 도시․군관리계획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토지소유자가 지자체장에게 도시자연공원구역 내 토지를 매수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매수판정 기준도 완화한다.

현재 도시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된 토지의 소유자는 해당 토지를 지자체에 매수해달라고 청구할 수 있으나, 매수판정 기준이 엄격해 매수할 수 있는 토지가 많지 않았다.

개정안은 매수판정 기준을 현행 개별공시지가 평균치의 50% 미만에서 70% 미만으로 완화하고, 지자체의 조례를 통해 그 이상의 비율로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해 토지소유자가 매수청구할 수 있는 대상을 확대했다.

정부는 지난해 5월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올해 7월 공원 일몰제에 따른 실효대상 공원(363.6㎢)의 26%(94.1㎢)에 달하는 국공유지를 공원으로 계속 보존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미집행 도시공원 중 국공유지는 실효를 유예하는 내용의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됐으며, 지난 1월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된 법률은 원칙적으로 국공유지를 10년 간 실효 유예하되, 이미 공원 기능을 상실한 국공유지는 제외하면서 그 기준과 절차 등을 시행령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행령 개정안은 공공청사가 설치된 부지 등 공원 기능을 상실한 국공유지의 기준을 정하고, 국토부장관이 소관부처와 협의를 거쳐 실효되기 30일 전까지 공고토록 했다.

도시공원 규제도 완화된다. 우선 도시공원 내 점용허가를 받아 설치 할 수 있는 시설에 열수송시설, 전력구, 송전선로가 추가된다.

이 시설은 도시 내 난방․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이나, 점용허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그간 지자체마다 설치 가능여부에 대한 판단이 상이해 행정상 혼선이 있었다.

소공원․어린이공원에도 소규모 도서관(33㎡ 이하, 1층)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간 도서관은 근린공원, 역사공원에만 설치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어린이와 지역주민들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소공원․어린이공원에도 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게 했다.

어린이공원에는 현행 규정상(`05.12.30 도입) 어린이집을 설치할 수 없지만, 해당 규정 도입 전 설치 된 어린이집이 노후화된 경우 안전문제 등을 고려해 증․개축을 허용한다.

또한 현재는 근린공원에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기숙사만 설치할 수 있었으나, ‘평생교육법’에 따른 전공대학의 기숙사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권혁진 도시정책관은 “도시자연공원구역 내 토지소유자의 부담이 완화되고, 공원일몰제에 대비해 전체 공원의 25%에 달하는 국공유지를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도시공원 규제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