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산업, 기술중심 낙찰제 전환 시급하다”
“엔지니어링산업, 기술중심 낙찰제 전환 시급하다”
  • 하종숙 기자
  • 승인 2019.11.29 1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협, ‘엔지니어링사 경영성과 및 생산성 분석’ 발표

엔지니어링기업 지난해 경영성과 및 생산성 악화 ‘어려움’ 이어져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사간 양극화 심화… 제도·구조적 문제 해결돼야”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국내 엔지니어링기업의 지난해 경영성과 및 생산성이 악화,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사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엔지니어링협회(회장 이재완) 정책연구실은 국내 엔지니어링기업의 2017년∼2018년의 경영성과와 직원 생산성을 측정하고 이의 변화를 분석, 이같이 밝혔다.

엔지니어링협회는 2년 연속 경영실적을 공개한 엔지니어링전업사 1,407개사를 포함해 총 1,952개사의 동일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분석에 따르면 우선 엔지니어링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악화됐다. 2018년 엔지니어링전업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4.0%로 전체산업(5.6%) 및 엔지니어링을 겸업하는 건설사인 E&C기업(6.6%)보다 낮았다. 엔지니어링전업사는 건설과 비건설 부문 모두 수익성이 악화됐고, 특히 매출 10억원 미만 소기업은 영업이익률이 1%대로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사 간 양극화 확대가 지적됐다. 엔협은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사 간 업체당 경영성과를 비교한 결과 양 산업 간의 양극화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2018년 엔지니어링전업사의 업체당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0.5% 감소, 순이익은 25.4% 감소한 반면 E&C기업의 업체당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각각 19.6%, 27.3%씩 증가했다.

엔지니어링전업사 기술부문별로는 건설부문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13.8%, 14.8% 감소했고, 비건설부문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7.5%, 36.8% 감소했다. 엔지니어링전업사의 업체당 영업이익은 매출 10억원 미만 소기업이 73.6%, 매출 10억∼300억원 이하 기업 및 300억원 초과기업의 영업이익은 각각 18.3%, 18.8%씩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생산성의 경우도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기업 간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엔지니어링전업사의 2018년 1인당 매출액은 1억3,000만원, 영업이익은 500만원, 순이익은 410만원으로 나타났다. E&C사의 2018년 1인당 매출액은 10억3,000만원, 영업이익은 6,790만원, 순이익은 2,400만원으로 나타나, 엔지니어링전업사 대비 E&C사의 1인당 매출액은 8.1배, 영업이익은 13.6배, 순이익은 5.9배에 달했다.

엔지니어링전업사의 1인당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건설기술부문이 각각 450만원 및 390만원이며, 비건설기술부문이 각각 590만원 및 440만원이었다. 기업규모로는 매출 10억∼300억원 이하 기업이 300억원 초과기업보다 1인당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컸다.

고용동향에서는 2018년 엔지니어링전업사의 직원수는 경기불황에도 947명(7만3,151명→7만4,098명) 늘어났으나 E&C기업은 이익 증가에도 대기업(매출액 300억원 초과)의 해고증가 등으로 2,495명이 줄어 전체 E&C기업에서 1,968명(10만9,616명→10만7,648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지니어링협회 정책연구실 이재열 실장은 “분석결과 E&C기업과는 달리 2018년 엔지니어링전업사의 수익성과 직원 생산성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업종 특성상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기업의 직원 1인당 생산성을 매출로는 비교하기 어려우나 재무 레버리지 등의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1인당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양 업종 간 차이가 큰 것은 제도와 구조적인 문제 외에는 설명이 어렵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구체적 경영악화 원인으로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영악화는 수요(발주)는 감소하나 공급(엔지니어링 사업자)이 증가하는 특수한 공급과잉 현상이 매년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엔협은 주요 이유로 ▲엔지니어링 사업자 신고요건이 계속 완화, 엔지니어링산업의 진입장벽이 낮아져 창업이 크게 증가 ▲낙찰제도의 기술변별력 부족으로 한계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덤핑 투찰로 시장 ▲저가와 운에 의해 낙찰자가 결정되는 적격심사제도로 낙찰확률을 높이기 위한 페이퍼컴퍼니 증가 ▲비상장기업에 대한 엄격한 M&A 및 가업승계 요건으로 엔지니어링 기업의 출구전략 봉쇄 ▲엔지니어링의 창의적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시공의 저가경쟁 낙찰제 준용 및 시공 중심 정책과 턴키발주 증가로 시공의 하청화로 대가가 낮아지고 불공정거래 증가 등이 꼽혔다.

이재열 실장은 “국내 엔지니어링기업의 경영개선과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국내의 엔지니어링 제도를 선진화하고 산업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며 “‘경기불황 → 공급과잉 → 저가수주 → 경영악화 및 기술발전 후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엔협은 정부는 기술 중심의 낙찰제를 실시하고 궁극적으로 미국 등과 같이 기술력만으로 엔지니어링 낙찰자를 결정하는 QBS방식과 실비정산방식을 채택하는 것 뿐만아니라 엔지니어링 기업에 대한 가업승계 및 비상장기업 M&A에 대한 세제혜택 요건 완화 등으로 산업구조 개선을 적극 지원해 줄 것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