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언] 흙막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계측관리 제안
[제언] 흙막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계측관리 제안
  • 국토일보
  • 승인 2019.11.01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계측관리 분리발주 환영, 성공적 계측관리 발주 방안 제시
서울한류로타리 클럽 김형성 회장
김형성 건축시공기술사.

일정규모 이상의 공사는 건물을 짓기 전에 땅을 파는 터파기공사가 먼저 진행되고 기초공사, 구조체공사, 마감공사 순으로 진행된다.

터파기공사 공사 중에는 통상 흙막이 가시설공사를 하는데 토압으로부터 흙막이 자체의 안전성 확보와 인근건물, 도로, 지하매설물 등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지반의 변형, 균열 등에 대비한다.

흙막이공사 중 흙막이 벽체의 변형 등을 미리 발견하고 조치하기 위해 여러 계측기기를 설치·관리 하는 것을 계측관리라 한다.

계측관리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표면 변화측정부터 지하수위 변동 및 간극수압 측정, 지중 수평·수직 변위 측정, 흙막이부재의 응력과 버팀재의 변형의 측정뿐만이 아니라 공사 중 발생하고 있는 민원에 대비하기 위한 인접구조물의 균열 및 기울기 측정, 소음측정, 진동측정 등도 계측관리에 포함된다.

계측기의 종류와 설치 수량은 공사 규모와 주변여건에 따라 달라지며 공사관리자와 계측업체 간의 관리능력에 의해 계측관리의 정밀도가 좌우된다.

현재 계측관리는 건설시공사에 포함해 발주돼 건설시공사의 관리로 계측업무가 이뤄지고 있다. 계측관리 주기는 터파기 기간에는 통상 주 3회 이상, 2단 터파기 이후에는 주 1~2회가 적정 하지만 시공사의 비용절감, 계측관리 분석 결과보고 지연, 위험요소에 대한 적절한 대응 미흡 등의 요인으로 흙막이 붕괴 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으며, 2018년 9월 상도동 흙막이 붕괴로 인한 유치원 붕괴 사고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9월 발생한 서울 동작구 소재 상도유치원 붕괴 위험 촉발 공사현장.
지난해 9월 발생한 서울 동작구 소재 상도유치원 붕괴 위험 촉발 공사현장.

이에 서울시는 지난 7월 31일 안전시공과 사고예방을 위해서 8월부터 흙막이공사 중 시행되는 계측관리용역 부분을 분리 발주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계측관리용역을 분리 발주해서 되면 계측 품질을 높이고 정확한 계측관리를 기대한다고 한다. 분리발주 계획은 시공사가 배제되어 시공사의 비용절감이나 관리능력 부재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서울시에서는 일정 기술 수준의 계측관리업체에게 발주함으로서 흙막이공사 안전관리에 크게 할 것이다.

하지만 계측관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공사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분리발주만으로 해결되기는 쉽지 않아 보이고 현재 계측관리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법을 찾아야 실질적으로 계측 품질이 높아질 것이다.

계측관리에서 가장 중요하게 개선돼야 할 부분을 보자면, 첫째로 계측관리 주기의 문제이다. 현재는 주 1~2회 계측기기를 측정해서 분석보고서가 만들어져 시공사에 보고되기 까지는 보통 7일 ~10일이 소요된다. 즉 계측관리를 하여도 7일 이내에 흙막이 붕괴 위험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둘째는 흙막이 자체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것이 흙막이 벽체의 변형 확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흙막이 벽체의 변형을 확인하기 위해 지중경사계(inclinometer)를 사용하고 있지만 흙막이 뒷부분의 여러 변화와 흙막이 벽체의 변형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어 정확성 결여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서울시에서 제안한 분리발주를 환영하며, 아래와 같이 추가적인 개선안을 제안 하고자 한다.

먼저 계측주기의 관리감독 강화이다. 발주 시방서에 계측기별 계측 주기를 정확히 명시하여 관리·감독을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계측기기 설치기준의 명문화가 필요하다. 현장 여건이 모두 달라서 일괄적인 기준을 정하기는 어렵지만 흙막이벽 전체 길이, 깊이, 면적 등에 따른 최소한의 기준을 정하여 계측기 종류 및 설치 수량의 기준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계측결과보고서의 신속성이다. 보통 공사현장에서 계측결과를 가져가 분석해 결과보고서가 나오기까지 약 7일 ~10일의 시간이 있는데 이 공백 시간을 2일 이내로 단축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정보화 계측장비의 개발 지원 및 활용이 필요하다. 계측 데이터의 정확성, 신속성 등 고려하면 계측장비의 디지털화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에서도 정보화 계측장비 개발 지원과 용역 발주 시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