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화재사고, 관리 미흡·설치 부주의 등 '예견된 참사'
ESS 화재사고, 관리 미흡·설치 부주의 등 '예견된 참사'
  • 김준현 기자
  • 승인 2019.06.12 1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조사위,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 발표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전국 23개소에서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가 배터리 보호시스템 및 운영관리 미흡, 설치 부주위 등이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실시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원인조사 결과를 공개해 이와 같이 밝혔다.

앞서 조사위는 전기·배터리·화재 등 ESS 분야 학계, 연구소, 시험인증기관, 소방전문기관, 정부 등 19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단체를 꾸려 약 5개월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전체 23건 화재사고 중 14건은 충전완료 후 대기 중에 발생했으며 6건은 충방전 과정에서 났고, 설치·시공 중에도 3건이 발생했다.

사고원인으로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크게 4가지를 꼽았다.

민간조사위는 셀 해체분석 실시 결과, 1개사 일부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했다.
민간조사위는 셀 해체분석 실시 결과, 1개사 일부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했다.

조사위에 따르면 전기적 위해요인 중, 지락·단락에 의한 전기충격이 배터리 시스템에 유입될 때, 배터리 보호 체계인 랙 퓨즈가 빠르게 단락전류를 차단하지 못해 절연 성능이 저하된 직류접촉기가 폭발했다.

이로 인해 보호장지 내에 버스바와 외함에서 2차 단락사고가 발생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다.

또 산지 및 해안가에 설치된 ESS의 경우, 결로와 다량의 먼지 등에 노출되기 쉬운 열악한 환경에서 운영된 것도 문제였다. 배터리 모듈 내에 결로의 생성과 건조가 반복되면서 먼지가 눌러 붙고 이로 인해 셀과 모듈 외함간 접지부분에서 절연이 파괴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아울러 배터리 보관불량, 오결선 등 ESS 설치 부주의, ESS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설계·보호되지 못했던 점, 배터리셀의 결함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으나,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진 않았다”며 “조사위는 제조 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