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엔지니어링 수주 9.8% 증가… 건설·환경·정보통신이 성장 주도했다”
“작년 엔지니어링 수주 9.8% 증가… 건설·환경·정보통신이 성장 주도했다”
  • 하종숙 기자
  • 승인 2019.06.04 14: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협회, 엔지니어링 전업사 수주실태와 시장구조 분석 발표

건설엔지니어링, 2014년 61.7%·2016년 66.6%·2018년 69.4% 지속 상승
원자력, 탈원전 영향 2017년 -21.5%·2018년 -29.1% 연이어 대폭 감소

예타면제사업 지역의무 공동도급 적용… 지방·중소기업 수주경쟁력 제고
종합심사제 대상 사업규모 상향·비상장기업 M&A 세제혜택 부여 등 정책제안

자료제공=한국엔지니어링협회.
자료제공=한국엔지니어링협회.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지난해 국내 엔지니어링 기업 수주실적은 9.8% 증가, 이중 ▲건설 ▲환경 ▲정보통신이 수주 성장을 주도한 반면 원자력은 탈 원전 영향으로 2017년(-21.5%)에 이어 2018년(-29.1%)에도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엔지니어링협회(회장 이재완) 정책연구실은 ‘엔지니어링 전업기업의 수주실태와 시장구조 분석’ 연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에 의거 최근 5년(2014∼2018년) 동안 수주실적을 모두 신고한 엔지니어링 전업기업 1,068개사의 수주실적 신고자료 약 16만5,000건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 2018년 엔지니어링 전업사 수주 동향

엔지니어링 전업사 수주금액은 2018년 중 9.8% 증가했다. 건설(12.1%), 환경(12.8%), 정보통신(7.0%)은 성장세를 보였으나 원자력은 탈 원전 영향으로 2017년(-21.5%)에 이어 2018년(-29.1%)에도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엔지니어링 전업사 수주가 크게 증가한 것은 우선 중앙정부 SOC 예산에 의존하는 공공기관의 수주가 16.3% 줄어들었으나 지방정부의 수주가 31.5%나 증가한 데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엔지니어링협회는 지난해 SOC 예산은 2017년 22조1,000억원에서 19조원으로 중앙정부는 감소했으나 지방정부는 30조5,000억원에서 32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인프라 시장의 민간개방 확대 등으로 민간부문으로부터 수주가 2018년 17.1% 증가한데 힘입었을 뿐만아니라 ▲유지보수 ▲사업관리 ▲기획·타당성검토 등 과거 사업주가 수행하던 영역에서 엔지니어링 전업기업이 업역을 확대해 수주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엔지니어링 수주실태 및 시장구조 특성

엔지니어링협회가 분석한 기업별 수주실태 및 시장구조는 중대형기업과 소기업 간 수주 양극화 심화는 물론 영세성, 서울과 지방기업간 수주 양극화, 건설과 비건설 부문이 수주 격화 심화, 기술형입찰 확대, 중대형 기업간 공동도급계약 활성화 등으로 꼽았다.

최근 4년간 수주증가율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 중 매출규모 10억원 미만 소기업의 수주는 전년대비 3.1% 감소한 반면 매출규모 100억원 이상 엔지니어링 전업기업 수주는 두 자리 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엔지니어링 전업기업 영세성과 취약한 산업구조도 문제다. 엔지니어링 전업기업의 업체당 평균 수주금액은 2018년 39억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규모 10억원 미만의 소기업은 전체 업체수의 28.8%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들 기업이 수주한 금액비중은 2.9%, 업체당 수주금액은 2018년 4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과 지방기업의 수주 양극화 역시 심화되는 것으로 나나탔다. 2018년 서울소재 기업의 수주는 24.6% 증가했으나, 지방소재 기업의 수주는 2.7% 증가에 그쳤다. 최근 4년간 연평균 수주 증가율도 서울이 9.9%로 지방(3.4%)보다 크게 높았다. 이에 따라 서울소재 기업의 수주비중은 2014년 31.2%에서 2018년에는 36.6%로 크게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보다도 건설과 비건설 부문의 수주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건설부문 비중은 2014년 61.7%에서 2016년 66.6%, 2018년 69.4%로 계속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비건설분야는 탈원전, 생활형SOC 중심 정책 등의 영향으로 원자력, 전기 등의 분야에서 수주가 부진해 비중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민간과 지자체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데 전체 수주액에서 차지하는 민간의 비중은 2014년 37.9%에서 2018년 41.6%로 상승, 엔지니어링 기업의 민간부문 의존도는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공공기관 비중(2014년 37.6% → 2018년 23.7%)이 축소되고 지방정부 비중(2014년 20.1% → 2018년 27.4%)이 크게 높아졌다.

기술형입찰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기술형입찰방식(기술제안서평가방식, 사업수행능력평가방식,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의 비중이 2018년 금액기준으로 1/3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기술형평가방식의 비중은 2014년 30.8%에서 2018년 33.8%로 높아졌다. 반면 가격중심입찰방식(일반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의 비중은 2018년 25.1%로 2014년(28.5%)대비 소폭 감소했다.

중대형 기업 간 공동도급계약 활성화도 눈에 띈다. 2018년 수주금액 기준으로 단독수주계약 비중이 54.6%로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공동도급계약의 비중이 점차 증가, 2014년 39.1%에서 2018년 45.4%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추세는 최근 4년간 공동도급계약의 증가율에서 매출규모 100억원 이상의 기업에서는 크게 증가했으나, 10억원 미만의 소기업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중대형 기업의 성장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엔지니어링협회는 ▲예타면제사업 등에 대한 지역의무 공동도급 적용 ▲종합심사제 대상 사업규모 상향 ▲ PQ 입찰서류 부담 완화 ▲비상장기업에 대한 M&A 세제혜택 부여 등 M&A 활성화 지원 ▲민자사업에 대한 중소 전업사 참여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엔지니어링협회는 이번 연구 분석결과 지방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주실적이 특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지방소재 소기업의 수주경쟁력 강화를 위한 예타면제사업 등 정부의 대형사업에 대해 지역의무 공동도급 적용 등을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종합심사낙찰제 등 기술형 입찰제도의 확대와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면서 중소기업의 수주가 어려워지고 있어 종심제 적용대상(기본계획 15억원, 실시설계 25억원, 건설사업관리 50억원)을 기본계획 30억원 실시설계 50억원, 건설사업관리 100억원으로 확대해 기술자 확보 등에 따른 중소 전업사의 어려움 해소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PQ 입찰서류 부담 완화도 촉구했다. 엔지니어링협회는 PQ 서류 준비에 소요되는 직접비용만 연간 118억원에 달하며, 엔지니어링 기업당 평균 3,600만원을 부담는 것으로 추정, 사업자 평가 시 입찰공고일 이전에 발행된 사본 증명서 제출을 허용하고 낙찰자에 한해 증명서 원본과 증빙서류를 제출하도록 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함께 엔지니어링 전업기업은 영세하지만 M&A를 통한 사업구조 개선이 어렵다. 가업승계 요건 완화, 비상장기업에 대한 M&A 세제혜택 부여 등 M&A 활성화 지원으로 산업구조 재편을 추진하는 것과 함께 민자사업은 규모가 크거나 제안형 사업으로 소기업 업체들의 수주가 어려운 상황으로 민자 인프라 사업에 대해 중소형 전업사가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개발사업자 선정시 중소 전업사 참여를 우대 평가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엔지니어링협회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최초로 엔지니어링 전업사의 수주실태와 시장구조를 파악해 정책대안을 제시한 것은 큰 의미가 있을 뿐만아니라 부문별로 정책변화가 시장구조 및 이해관계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정책수립 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엔지니어링협회는 엔지니어링 산업 발전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 마련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