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도시 특화단지 4곳 선정… 국토부, 지역주민 체감도 제고 '기대'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4곳 선정… 국토부, 지역주민 체감도 제고 '기대'
  • 김준현 기자
  • 승인 2019.03.18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 통영시, 부산 수영구, 서울 성동구, 충남 공주시·부여군
4곳 스마트도시 특화 종합계획 수립 국고지원

[국토일보 김준현 기자] 올해 스마트도시의 ‘테마형 특화단지 종합계획 수립 지원사원’ 대상지로 경남 통영시, 부산 수영구, 서울 성동구, 충남 공주시·부여군 4곳이 선정됐다.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요 발굴이 기대될 전망이다.

테마형 특화단지 지원사업은 기성시가지에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를 적용해 교통과 에너지, 안전, 방재 등의 생활편의를 개선하는 사업이다. 지역 고유의 산업과 문화적 경쟁력을 강화시켜 스마트도시의 우수사례를 창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4곳의 지방자치제에는 각각 종합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국비 2억2,500만원이 지원된다. 당국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해당 지역에 필요로 하는 서비스 수요를 발굴하고,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지역 주민의 스마트도시 체감도를 높일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지역 내 기성시가지의 특성에 적합한 활용계획을 제시하고 있어, 다양한 유형의 도시 모델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경남 통영시 사업계획.
경남 통영시 사업계획.

경남 통영시는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역상권과 함께 하는 스마트도시 통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통영시는 재래시장 내 지역 농수산물 상품의 영상과 주문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전자상거래를 유도한다. 또 체험경매 서비스로 한정수량의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토록 하고, 계절별 신선상품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는 재미를 도모한다.

시장 내 환경정보 관리를 통해 악취방지와 청결유지, 방범강화 등 재래시장을 찾는 고객들의 편의 증진도 높인다.

부산 수영구 사업계획.
부산 수영구 사업계획.

부산 수영구의 목표는 ‘다시 찾고 싶은 광안리’ 조성이다. 홍보 및 주차정보, 결제 등 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지역 내 3개 관광권역별 차별화 서비스를 도입한다.

수영구는 SNS에서 ‘빵천동(빵의 성지 남천동)’으로 유명한 남천동 일원에 상점별 위치와 상품, 출시시간을 알려주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스마트 그늘막 벤치, 드론안전지킴이,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체험 서비스를 통해 4계절 관광 편의를 증진시킨다. 또 민락동 회센터 주변은 ‘미디어 아쿠아월’을 만들어 ‘활어문화거점’으로 조성하게 된다.

서울 성동구 사업계획.
서울 성동구 사업계획.

‘교통중심 왕십리’ 사업을 제안한 서울 성동구는 종합교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기반 사고방지, 미래형 버스정류장, 어린이 통학로 안전제공 서비스를 추진하겠다고 제안했다.

각 5개의 도로망과 지하철 노선의 집중으로 교통혼잡과 사고위험 지역으로 인식되던 왕십리 일원에 스마트 교통 서비스로 시민의 불편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사고가 집중되는 왕십리 오거리에 IoT를 활용한 지능형 CCTV를 설치,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방침이다.

이밖에 성동구에는 등·하교 시간대 차량출입을 통제하는 통학로 안전제공 서비스와 육교 안전관리가 지원된다.

충남 공주시·부여군 사업계획.
충남 공주시·부여군 사업계획.

백제의 얼을 지켜온 공주시와 부여군은 백제문화유산에 스마트서비스를 접목, ‘세계적 문화유산도시 육성’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공주·부여 간 공간적 연계와 이동편의성을 위해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이 제공된다. 이는 교통상황과 실시간 수요에 따라 가변노선 및 예약 운영이 가능한 대중교통이다.

도심 내 고도(古都)체험을 위한 ‘열린 박물관 조성사업’에만 국한됐던 관광동선이 도심까지 확장될 전망이다. 아울러 공공자전거 인프라도 확대된다.

공주·부여는 무엇보다 지역민들의 참여를 장려해 지역관광 가이드와 체험프로그램, 빈집공유 등 ‘대안관광 공유서비스’로 관광수요와 고령인구 및 청년층 일자리 창출을 도모한다.

국토부 배성호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지원 사업은 상향식(Bottom-UP) 방식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과제를 발굴해 지역주민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며 “4곳의 지자체에서 도출된 우수사례들은 향후 다른 지자체로도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