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년 칼럼] 정답과 해답의 차이
[김광년 칼럼] 정답과 해답의 차이
  • 김광년 기자
  • 승인 2011.03.23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正答과 解答의 차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늘~ 언제나 정답(正答)을 맞추며 살아간다는 것은 참 어려운 얘기다.
개개인의 삶을 계획하고 행동에 옮기는 일도 깊은 고민이 필요한데 하물며 국민의 심복으로 근무하는 정책입안자들은 더욱 고통의 폭이 더 한층 클 것이다.
오직 국민 대다수를 향한 소신만이 수 많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정답을 찾는 유일한 길일 텐데 진정 정답이 있을 수 있는 것인가!
그러나 사회는 정답을 원하고, 집요하게 요구하고 있다.
무엇이 정답인가? 필자는 오늘 이 문제를 던지고 싶다.
우선 나 자신부터 짚어보면 - 반세기 산업의 현대화를 실현하고 국민경제 중심에서 성장해 온 건설산업과 함께 전문기자의 책임과 기능발휘에 최선을 다 해 왔다고 자부하고 싶지만 독자들은 이를 허락지 않을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건설 60년 기간동안 변한 건 양정성장 뿐 질적으로 산업의 고부가가치 측면에서 얻은 게 무엇이냐는 반문에 아무도 이를 정답으로 답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건설산업 전문매체로서 정부의 그릇된 정책을 얼마만큼 개선했느냐는 물음에는 사실 별로 답할 게 없다.
이는 정답을 말 할 수 없기에 더욱 ‘난 지난 23년 동안 한 일이 없구나’ 라는 정답을 깨우치면서 지금 이 순간까지 온 것이다.
그렇다면 건설산업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는 어떠한 입장인가!
여기서 우리는 정답을 요구하면 정부는 답 할 게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이다.
매 순간 최선을 다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것으로 공무원은 현실주의론에 치중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사회적 기준이기 때문이다.
10년 전 또는 5년 전에 벌어진 상황을 감안해서 당시 실정에 적합한 정책을 추진한 것이 오늘날 이 시점에서는 아주 악법이 되어 있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물론 개선이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마저 쉽지 않다.
제도라는 틀과 법이라는 체계가 한 귀퉁이에서 반응을 일으키면 걷잡을 수 없는 폭발을 몰고 오는 무서운 물질로 변하고 결국 사회혼란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남게 된다는 사실을 각오해야 한다.
얼마 전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가 한 말이 생각난다.
“ 모든 일에는 우선순위가 있는 것이며 아무리 잘 해도 정답은 있을 수 없지요. 매사에 최선을 다하고 오직 국익과 국민복리를 위한 정책결정이 공직자의 무거운 책임이 아닐까요! ”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소신 발언이다.
즉 정답을 찾기보다는 해답(解答)을 찾아 불특정 다수가 누릴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일정한 사회적 테두리내에서 국가와 국민의 가치를 높여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판단이라는 것이 이 사람의 생각이다.
특히 건설산업의 경우 과연 규제해야 하는 산업인지 진흥시켜야 하는 산업인지 도무지 분간할 수 없는 정책을 추진하는 국토해양부를 보고 업계는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이럴 때 무엇이 정답인가에 대한 고민은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규제는 결국 발전을 독촉하는 채찍질로 이어진다는 논리다.
오늘 본보가 창사 17주년을 맞아 그 동안 무엇을 했으며 건설 및 환경에너지 산업에 있어 얼마만큼의 정론직필을 해 왔는가 또한 반성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국토일보가 걸어온 17년은 국익을 향한 관련 산업의 진흥을 위해 달려 온 세월이다.
그것이 바로 정답이 아닐까!
때로는 미디어 저널리즘의 신시장 개척을 위해 다소 무리한 행보를 했을 수도 있고 우유부단한 논조를 유지해 왔는지도 모르지만 모든 취재와 보도는 한국경제의 발전을 향한 틀에서 움직였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곧 정답인 셈이다.
재삼 본보 창사 17주년을 맞아 지나온 발자취를 더듬어 보면서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환경 시장에서 무엇인가 정답에 근접하는 해답을 찾기 위해 현장의 소리를 전하며 쉼 없는 정론보도에 충실할 것을 다짐한다.

2011년 3월 28일
본보 편집국장 김광년 / knk@cdail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