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가스 자주개발률 2012년 18.1%
석유·가스 자주개발률 2012년 18.1%
  • 박기웅 기자
  • 승인 2008.03.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경부 '해외자원개발 세부 추진전략' 발표

해외자원개발협판식 모습.

 

러·중앙아 등 4대 전략지역 중심 자원외교 박차

 

우리나라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이 지난해 4.2%에서 올해의 경우 5.7%, 2012년까지 18.1%를 달성한다는 목표가 수립됐다.

 

정부는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4대 지역을 중점 진출 전략대상으로 선정, 이들 지역에 대통령 및 국무총리가 직접 나서 자원확보를 위한 정상급 자원외교를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지식경제부는(장관 이윤호)는 17일 가진 대통령 업무보고 후속조치로 18일 이윤호 장관 주재 아래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석유공, 광진공, SK에너지 등 자원개발 관련 40여 공기업 및 민간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에너지산업 해외진출협의회'를 개최하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해외자원개발 세부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지경부 '해외자원개발 세부 추진전략' 주내용

 

◇ 금년도 자주개발률 5.7% 달성

 

일산 4.6만 배럴의 추가 자주개발물량을 확보해 금년도 석유·가스 자주개발률 목표 5.7% 달성.

 

이를 위해 지난 1월 석유공사 등이 인수한 미국 멕시코만 생산유전(17천b/d), 콩고 엠분디 유전(4.4천b/d)과 같은 신규 생산유전 인수를 적극 추진.

 

미 멕시코만 유전(지분매장량 6,100만 배럴, 100% 지분, 17천b/d), 콩고 엠분디(지분매장량 2,900만 배럴, 11% 지분, 4.4천b/d) 유전 인수로 21천b/d(781만b/y) 자주개발물량을 확보 → 자주개발률 0.7%P 상승.

 

또한, 브라질 BMC-8 광구, 베트남 15-1 광구 등 기존 생산광구의 증산 및 개발광구의 생산광구 전환을 지원.

 

◇ 2012년 자주개발률 18.1% 달성

 

일산 약 45만 배럴의 추가 자주개발물량을 확보해 2012년 석유·가스 자주개발률 목표 18.1% 달성. 금년 중 32억 배럴 규모의 유망 탐사광구를 추가로 확보해 추정 확보매장량을 200억 배럴(´07년 168억 배럴)로 확대함으로써 2012년 자주개발률 18.1% 달성을 위한 기반을 조성.

 

아울러, 현재 진행 중인 123개 해외유전개발 프로젝트(생산단계 34개, 개발단계 12개, 탐사단계 77개)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특히 나이지리아 심해 해상광구, 우즈벡 아랄광구와 같은 대형 프로젝트가 가능하면 빠른 시일 내 생산광구로 전환될 수 있도록 자원보유국과의 협력을 강화.

 

탐사 중인 대형 프로젝트는 탐사는 러시아 서캄차카(우리측 지분을 감안한 추정 매장량 15억 배럴), 나이지리아 심해 해상광구(12억 배럴), 아제르바이잔 이남광구(4억 배럴), 우즈벡 아랄광구(3억 배럴) 등.

 

이를 위해 러시아·중앙아·아프리카·중남미 등 4대 중점 진출 전략지역을 대상으로 대통령, 총리 등 정상급 자원외교 강력히 전개해 우리 기업의 유망 프로젝트 확보를 밀착 지원.

 

4대 전략지역은 전 세계 유전·가스 매장량(2만4,252억 배럴)의 약 40%(9,367억 배럴)가 매장돼 있으며, 이미 자원 선점이 이뤄진 중동에 비해 개발수요 및 잠재역량 풍부.

 

또한 금년에 나이지리아, 카자흐스탄, 칠레 등 22개국과 자원협력위원회를 개최하고, 특히 투르크메니스탄, 볼리비아, 에콰도르, 앙골라 등 6개국과는 첫 자원협력위를 개최할 계획.

 

나아가 러시아와 협의해 국장급 한·러자원협력위원회를 장관급 위원회로 확대 추진. 아울러 패키지형 자원개발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자원외교의 핵심 아젠다로 자원부국에 제시해 상호 Win-Win하는 협력모델 정착.

 

자원부국의 니즈를 고려한 국가별 동반진출 프로그램을 폭넓게 발굴해 발전소 등 일부 에너지 인프라 산업을 중심으로 추진해 온 협력분야를 건설·플랜트·기간산업·정보통신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민관 조사단 파견, 사업 타당성 조사 등 기업의 프로젝트 확보활동을 사업 단계별로 밀착 지원. 패키지형 자원개발 수요가 많은 중앙아(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아프리카(앙골라, 콩고DR 등)를 중심으로 현지 조사단 파견(분기 1회).

 

특히 범정부 차원의 “자원개발 프로젝트 지원협의회”를 구성·운영해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 및 여러 부처 관련사항을 One-Stop으로 해결·지원. 자원개발 프로젝트 지원협의회는 위원장에 지식경제부장관, 위원에 관계부처 차관, 수출보험공사 등 지원기관 장 등.

 

◇ 생산광구 인수 등에 필요한 해외자원개발 투자재원도 지속 확충

 

해외자원개발 예산을 ´12년까지 1.4조원 이상으로 확대(´08년 9,097억원)하는 한편 매년 5천억원, ´12년까지 2.5조원 규모의 자원개발펀드 신규 출시(´07년 3,300억원).

 

수출입은행의 자원개발금융을 ´12년까지 2조원으로 확대(´08년 6,000억원)하고 연·기금의 자원개발 투자 유도 등 다양한 투자재원 조달 추진.

 

◇ 자원개발 공기업이 세계적인 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역량 배양

 

자원개발 공기업에 대한 대폭적인 출자 확대와 대형화를 통해 규모·수익면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자원개발 공기업이 해외사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경영환경도 조성.

 

특히 “공기업 등의 해외사업 촉진에 관한 규정”(대통령 훈령)을 제정(´08.2.21)해 해외 고급기술인력 채용 촉진, Agent 활용, 성실한 실패에 대한 책임 면책(경감) 등 해외사업 경영 및 조직·인력 운영의 탄력성 부여.

 

공기업 경영평가 시 해외사업 활동에 대한 평가 확대(현재 평가비중 : 석유공사 18%, 광진공 15%, 가스공사 7%, 한전 2%).

 

◇ 인력·기술·정보 등 중장기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해외자원 개발

 

인프라에도 과감히 투자 전문인력의 경우 자원개발 특성화 대학을 지정·운영('09~, 대학별 10-20억원, ´09년 5개 대학 내외). 기술개발의 경우는 핵심기술에 대한 산·학·연 공동 R&D를 적극 지원.

 

자원개발 R&D 예산은 ('08) 153억원 → ('12) 300억원(심해·극지 석유개발 기술 등을 지원). 정보 강화를 위해선 해외자원개발협회의 고급 정보 수집·분석기능을 강화하고 기관별 해외자원개발 정보시스템을 통합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