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남북 건축기준 공동연구 시작 원년 기대
[기고] 남북 건축기준 공동연구 시작 원년 기대
  • 국토일보
  • 승인 2019.01.13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건축학회 경제운 통일건축산업위원회 위원

▲ 대한건축학회 경제운 통일건축산업위원회 위원.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철도가 연결되면 향후 30년간 경제효과가 140조원에 달한다고 교통연구원은 밝혔다. 국내 건설업계는 대북제제 이후 노후된 철도, 도로, 항만 뿐 아니라 주택 등 한반도 전반에 걸친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확대되길 바라고 있다.

남북건축인의 인적·기술적 교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일들이 먼저 이뤄지길 희망한다.

첫째, 남북 건축전문가의 인적교류부터 시작하자.

최근 철도, 도로분야의 제한된 분야 및 인원의 방북 사례는 있었으나, 남북 건축학자의 교류는 없었다. 상호 관심사항, 교류분야 등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해 신뢰 구축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치적 부담이 없는 전문가의 인적 교류 추진이 선행돼야 할 이유다.

둘째, 최신 건축기술에 대한 상호 기술교류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외 연구자들에 의하면 북한에서는 BIM 교육교재, 건설기술인 훈련, 4차 산업혁명과 연계된 최신 건축기술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 남북한 건축전문가들의 학술교류가 이뤄졌으면 한다. 현재 학회에서 희망하는 기관으로는 북한의 백두산건축연구원, 평양 건축대학 등이 있으며 이들과의 기술교류회가 열리길 바라고 있다.

셋째, 남북한 건축기준의 차이를 상호 이해하자.

북한의 건축기준은 러시아 및 중국 영향을 받았으며, 남한은 일본, 미국 등 기준을 참고해 국내기준을 마련했다. 구체적인 남북간 시멘트의 화학조성비, 시멘트의 분류체계(강도등급규정, 27MPa 등), 시험체의 종류 및 크기, 배합비, 재료배합 순서 등 차이점이 다양하다.

무엇보다 북한 건축 인프라시장을 단순 ‘돈벌이’ 대상으로 보면 안 된다는 점도 인지해야 한다. 북한이 남한을 단순히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는 무조건적인 환영을 하지도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은 북한 진출을 희망하는 다른 선진국과는 차별성을 활용할 수 있는 점을 인지하고 지혜를 모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강점과 평화, 공존, 협력, 호혜, 공동 번영 등 5대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일방적인 지원이나 협력보다는 북한과 함께 지속가능한 분야인 국토교통 학술교류를 북한 당국자와 실질적인 교류가 이뤄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