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체계적 가뭄 관리체계 가동… 관계기관 협력 가뭄피해 최소화 만전
정부, 체계적 가뭄 관리체계 가동… 관계기관 협력 가뭄피해 최소화 만전
  • 하종숙 기자
  • 승인 2019.01.09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 가뭄종합대책’ 마련… 1월 가뭄 예·경보 발표

경보단계 3→4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 세분화 및 중기가뭄(2개월) 예보 확대
올 상습가뭄지구 666억·농촌용수개발사업에 2천361억 투입 등 지원 지속 확충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정부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등 문제 해소를 위해 올 체계적인 가뭄 관리체계를 가동한다.

정부는 최근 누적 강수량과 저수율이 평년이상을 유지하면서 올해 홍수기(6.21~9.20.) 전까지는 물 부족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말 기준 1년간 누적강수량은 1,386.9㎜(평년의 106.4%), 6개월 845.7㎜(평년의 99.5%)이며 평년 저수율은 농업용 저수지125%, 다목적 댐142%, 용수 댐 135% 등으로 집계됐다.

다만, 강수의 변동성에 대비해 저수율이 다소 낮은 지역을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등 관계부처가 함께 상시 가뭄 관리체계를 지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1월 가뭄 예·경보 1개월 전망 중 관심지역으로는 경북 포항(진전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정부는 올해도 적극적인 범정부적 가뭄 예방 대처를 위해 ‘2019년 가뭄종합대책’을 수립, 철저한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2019년 가뭄종합대책’ 주요 내용에 따르면 우선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가뭄에 대한 정보제공과 관련기관의 대응 역량을 강화키로 했다. 가뭄발생빈도는 지난 1904년부터 2000년까지 35회로 연간 0.36회, 2001년부터 2018년까지는 13회 연간 0.72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현재 시행 중인 가뭄 예·경보를 법제화하고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가뭄 경보단계의 세분화와 중기가뭄 예보를 확대한다. 이에따라 경보단계 3→4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 세분화, 중기가뭄(2개월) 예보를 확대키로 했다.

이와 함께 가뭄정보를 통합한 가뭄 통계집을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시스템을 통해 국민에게 가뭄지수 등 정보제공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통합적 가뭄 위기대응체계를 마련해 단계별로 가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극한가뭄에 대비해 선제적 용수확보와 가뭄 전문가 지역 협의체, 가뭄 체험장 운영 등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관심) → 지자체·유관기관(주의) → 중수본(경계) → 중대본(심각)단계별 재난관리기금, 한발대비용수개발비, 특별교부세 등 가용재원 지원과 함께 극한 빈도의 가뭄을 고려해 댐·저수지 사전 저수율 관리, 물 채우기 등 용수확보를 위한 노력에 만전을 기울이기로 했다.

아울러 연간 강수량의 변동 폭이 커지고 여름철에는 단기간에 강수가 집중되는 등 이용에 어려움이 있어, 물 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미래대비 새로운 자원 확보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수원(水原)간 연계를 강화하고, 비상시 급수조정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노후화된 시설의 보수와 상수도 현대화 사업 등 시설관리를 강화해 물 자원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도서·산간에 지방상수원 확충과 보조수원을 확대해 상습 가뭄 지역에 대한 지원과 관리를 강화한다. 이를위해 상습가뭄재해지구(5개, 666억/2019∼2022년)에 대한 지속 지원과 함께 올 농촌용수개발사업(10개)에 2,36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빗물 이용시설 확대와 같은 친환경 취수원 개발과 기후변화에 대비한 작물 대응기술 개발 등 미래대비 대응 기술도 마련한다.

행정안전부 김종효 재난대응정책관은 “최근 매년 가뭄이 반복되면서 가뭄이 상시화 돼가고 있다”며 “정부는 올해도 극한의 가뭄을 가정해 사전에 대비하고 관계기관이 함께 힘을 모아 가뭄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0”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