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 기업인 10명 중 8명, 내년 지역경제 더 악화될 것
부산경제 기업인 10명 중 8명, 내년 지역경제 더 악화될 것
  • 부산=김두년 기자
  • 승인 2018.12.26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상의, 2019년 부산경제 기업인 의견조사 결과

[국토일보 김두년 기자] 내년 지역경제에 대해 기업인들은 단순한 우려의 차원을 넘어서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보호무역 확대는 기업경영을 위협하는 가장 큰 애로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26일, 2019년 지역경제와 기업경영 전망에 대해 지역 주요 기업인 100명의 의견을 물은 ‘2019년 부산경제 기업인 의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내용은 경제전망, 기업경영, 고용, 대내외 위협 요인 등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인 78.0%가 내년 지역경제가 올해 보다 더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고, 불과 9.0%만이 올해보다 회복될 것이라 응답해 기업인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와 동일한 수준을 예상한 13.0%의 기업인들도 주력산업의 부진으로 수년간 침체에 빠져 있는 지역경제에 대한 막연한 기대심리로 사실상 부정적인 전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 기업인들의 경제전망이 비관적인 것은 고용여건의 악화와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 내년 경제 상황도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최근 대형 조선소의 수주증가로 지역 기자재업체의 경영여건은 다소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지역 제조업의 나머지 한 축인 자동차업종은 위기가 본격화 될 것으로 우려된다.


더불어 건설경기 둔화, 소비부진, 금리인상 등 내수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악재도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규설비 및 R&D 확충과 같은 기업투자 부문의 축소도 우려된다. 이를 증명하듯 응답기업인 57%가 내수 악화를 예상했고, 다소나마 회복될 것으로 본 기업인은 14%에 불과했다. 수출도 44%가 악화를, 12%만 회복을 예상했다. 설비투자 역시 44%가 감소를, 11%만 증가할 것으로 내다 봤으며, R&D 투자는 6%만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각 응답 부문에서 금년과 ‘동일’할 것으로 본 기업인들의 의견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면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고용 전망도 불투명하긴 마찬가지다. 응답기업인 70%가 내년에는 현재의 고용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결원만 보충하겠다고 답했고,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신규채용을 실시하겠다는 기업인은 8%에 불과했다. 결원을 보충하지 않거나 구조조정을 생각하고 있는 기업인도 21.0%에 달했다. 이는 불황지속에 대한 우려와 함께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이 채용에 큰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보호무역 확대와 더불어 최저임금 인상과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은 내년 기업 경영의 최대 위협 요인으로 꼽혔다. 조사에 응한 기업인 43.9%가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고용환경 악화를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했다. 다음으로는 금리인상과 자금조달 환경 악화 22.7%, 내수 위축 13.6%, 부동산 및 건설경기 악화 11.4%, 신규투자 위축 7.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표면화되고 있는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기업인이 전체의 31.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환율변동 29.2%, 원자재가격 상승 16.8%, 신흥국 경제 둔화 15.0% 등의 순을 보였다. 기업인들이 가장 바라는 기업지원책도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지원으로 응답 기업인 32.3%가 이를 가장 시급한 정책 1순위로 꼽았다. 그 외 정책자금 지원 17.7%, 위기업종지역 지원 16.7%, 민간소비 활성화 10.6%, 사업다각화 및 신산업 육성 9.1%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내년 지역 경제에 대한 기업인들의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데다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그리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주휴시간 최저임금 산정 포함 등 고용수준 유지에 대한 기업인들의 걱정이 가장 큰 만큼, 최근 급격한 대내외 여건 변화로 체력이 약해진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어 주는 차원에서 이에 대한 근본적인 정책 재검토와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